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764년(영조 39)~1801년(순조 1) = 38세]. 조선 후기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천주교도. 세례명은 프란치스코이다. 본관은 해남(海南)이며, 거주지는 진산(珍山)이다. 아버지는 윤경(尹憬)이고, 어머니 안동 권씨(安東權氏)는 권기징(權沂徵)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윤덕렬(尹德烈)이며, 증조할아버지는 화가로 유명한 윤두서(尹斗緖)이다. 정약전(丁若銓)·정약용(丁若鏞) 형제의 어머니가 고모이기도 하다. <신유박해(辛酉迫害)> 때 처형되었다.
[정조 시대 활동]
윤지헌(尹持憲)은 1786년(정조 10) 무렵 고종 사촌인 정약전에게 천주교 교리를 배운 후 1787년(정조 11) 이승훈(李承薰)으로부터 세례를 받은 그의 형 윤지충(尹持忠)의 전교로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그런 가운데 1791년(정조 15) 어머니 안동 권씨가 세상을 떠난 후 제사를 지내는 문제로 야기된 <진산사건(珍山事件)>으로 형 윤지충과 외사촌 권상연(權尙然)이 처형당하자 한동안 거주지를 옮겨 생활하였다.[『정조실록』 15년 10월 24일],『정조실록』 15년 11월 8일 2번째기사] 1790년대 중반 다시 천주교 활동을 시작한 윤지헌은 1795년(정조 19) 주문모(周文謨) 신부로부터 세례를 받고, 북경에 보낼 밀사로 황심(黃沁)을 천거하는 등 천주교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후손]
부인 유종항(柳宗恒)으로부터 3남 2녀를 두었는데, 윤지헌이 처형된 후 가족들은 노비가 되어 전국 각지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아내 유종항(柳宗恒)은 흑산도로, 장남 윤종원(尹宗遠)은 거제도로, 차남 윤종근(尹宗近)은 거제도로 갔으며, 삼남 윤종득(尹宗得)도 경흥으로 유배되었는데 당시 4세였다. 또 장녀 윤영일(尹英日)은 경흥으로, 차녀 윤성애(尹成愛)는 벽동군으로 유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