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홍교만(洪敎萬)

서지사항
항목명홍교만(洪敎萬)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천주교도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738년(영조 14)~1801년(순조 1) = 64세]. 조선 후기 정조(正祖)~순조(純祖) 때의 천주교도로, <신유박해(辛酉迫害)> 순교자. 세례명은 프란치스코 사비에르. 자는 도경(道卿)이고, 본관은 남양(南陽)이며, 거주지는 경기도 포천이다.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홍회(洪晦)이고, 어머니는 임명원(任命元)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의금부(義禁府) 동지사(同知事)를 지낸 홍상빈(洪尙賓)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중추부(中樞府) 첨지사(僉知事)를 지낸 홍경렴(洪景濂)이다.

[정조~순조 시대 활동]
서울에서 태어나 포천으로 이주해 살던 홍교만(洪敎萬)은 1777년(정조 1) 진사시에 합격하였다.[『방목(榜目)』]

양근에 사는 고종사촌 권일신(權日身)의 집을 드나들다가 천주교를 알게 되었으나 즉시 신앙으로 받아들이지는 않았다. 그러다가 먼저 입교한 아들 홍인(洪鏔)의 권유로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1794년(정조 15) 말 조선에 입국한 중국인 주문모(周文謨) 신부에게 세례를 받았으며, 교우와 비신자들에게 천주교 교리를 가르치거나 천주교회 활동을 그만 둔 냉담자를 회두시키는데 열중하며 포천 지역에 널리 복음을 전하였다.[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상 ]

1801년(순조 1) 신유박해가 발발하자 홍교만은 딸의 시아버지인 사돈 정약종(丁若鍾)의 책 상자를 몰래 숨겨두었다가 다른 곳으로 옮기던 중 발각되는 바람에 일찍 체포자 명단에 이름이 올랐다. 이 사실을 알게 된 홍교만은 아들과 함께 다른 곳으로 피신하였다가 순교를 각오하고 집으로 돌아와 그해 2월 14일 체포되었다.[『사학징의(邪學懲義)』] 의금부로 압송된 홍교만은 혹독한 문초에도 배교하지 않고 신앙을 지켜 결국 사형판결을 받고, 얼마 후인 2월 26일 서소문 밖 형장에서 참수형으로 세상을 떠났다.[『순조실록(純祖實錄)』 1년 2월 18일],[『순조실록』 1년 2월 25일],[『순조실록』 1년 2월 26일],[『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순조 1년 2월 15일],[『승정원일기』 순조 1년 2월 18일],[『승정원일기』 순조 1년 2월 20일],[『승정원일기』 순조 1년 2월 26일] 당시 그의 나이 64세였다.

[성품과 일화]
홍교만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일화가 전한다. 홍교만은 체포되어 신문을 받는 과정에서 “하느님은 천지의 큰 부모가 되시니 어찌 큰 부모를 섬기지 않겠습니까? 또 큰 부모를 섬기는 천주교를 감히 사악한 종교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까? 이는 천하의 진리이니 예수 그리스도를 사악하다고 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라고 하며 꿋꿋하게 신앙을 고집하였다.[한국천주교 주교회의,『하느님의 종 125위 약전』] 이후 사형판결을 받았을 당시 관리들은 그의 결안에 “그는 뻔뻔스럽게도 그 종교를 위하여 죽는 것이 행복이라고 감히 말한다. 그의 고집은 목석보다도 더 강하다. 그에게는 모든 형벌이 너무 가볍다.”라는 말을 적어 넣었다고 한다.[『벽위편(闢衛編)』]

[참고문헌]
■ 『순조실록(純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사학징의(邪學懲義)』
■ 『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이기경, 『벽위편(闢衛編)』
■ 샤를르 달레, 『한국천주교회사』상, 한국교회사연구소, 1980.
■ 한국천주교 주교회의, 『하느님의 종 125위 약전』, 2009.
■ 한국교회사연구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12, 2006.

■ [집필자] 홍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