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박필건(朴弼健)

서지사항
항목명박필건(朴弼健)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인물
유형정치·행정가/관료/문신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671년(현종 12)~1738년(영조 14) = 68세]. 조선 후기 숙종(肅宗)~영조(英祖) 때의 문신. 호조 참판(參判)의금부(義禁府) 동지사(同知事) 등을 지냈고, 이조 판서(判書)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양정(襄靖)이고, 자는 경운(景運)이며, 금릉군(錦陵君)에 봉해졌다. 본관은 반남(潘南)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이조 판서(判書)박태상(朴泰尙)이며, 어머니 조씨(趙氏)는 상의원(尙衣院) 정(正) 조속(趙涑)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좌승지(左承旨)를 지낸 박세견(朴世堅)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이조 참판을 지낸 금주군(錦州君) 박정(朴炡)이다.

[숙종~영조 시대 활동]
어려서부터 총명하였으나 질병으로 공부에 전념할 수 없었으므로, 과거를 포기하였다. 그리하여 1710년(숙종 36) 음보(蔭補)로 영소전(永昭殿) 참봉(參奉)이 되었고, 1713년(숙종 39) 전생서(典牲暑) 주부(主簿)를 거쳐 의금부 도사(都事)가 되었다. 그 뒤 청양현감(靑陽縣監)을 거쳐 1722년(경종 2)에는 정산현감(定山縣監)에 임명되었다.[『경종실록(景宗實錄)』 경종 2년 11월 19일] 이어 해주판관(海州判官)을 지냈고, 남원부사(南原府使)에 제수되었으나, 사양하고 부임하지 않았다. 1724년(영조 즉위년) 평소부터 그의 치적을 들었던 이조 전랑(銓郞) 조문명(趙文命)이 천거를 하여 선산부사(善山府使)가 되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선산부사이던 그는 그 해 3월 좌방장(左防將)으로서 거창(居昌)에서 반란군을 격파하고, 난을 이끌던 이웅보(李熊輔)와 정희량(鄭希亮)을 잡아 목 베었다.[『영조실록(英祖實錄)』 영조 4년 3월 27일, 영조 4년 4월 1일, 영조 4년 4월 2일, 『국조보감(國朝寶鑑)』 권59] 그는 그 공으로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輸忠竭誠決幾効力奮武功臣) 2등이 되어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급되고 금릉군에 봉해졌다.[『영조실록』 영조 4년 4월 26일, 영조 4년 4월 29일] 1729년(영조 5) 부총관(副摠管)이 되었다가, 이듬해인 1730년(영조 6) 9월 의금부 동지사가 되었다.[『영조실록』 영조 6년 9월 29일] 1731년(영조 7) 곡산부사(谷山府使)가 되었는데, 부임하기도 전에 관사(官舍)가 불에 탔다. 이에 관사를 다시 지으면서도 농사일에 바쁜 백성들의 힘을 동원하지 않았으므로 칭송을 들었다. 1733년(영조 9) 2월 다시 의금부 동지사가 되었다가, 이듬해인 1734년(영조 10) 9월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이 되었다.[『영조실록』 영조 9년 2월 8일, 영조 9년 10월 20일] 그 뒤 삼화부사(三和府使)를 거쳐, 1737년(영조 13)에는 호조 참판이 되었다. 1738년(영조 14) 세상을 떠나니, 나이는 68세이다. 이후 양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아울러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다.

[성품과 일화]
성품이 온화하여 공신으로 책봉되었으나 자신의 공훈을 내세우지 않았으며, 당론과 사치가 나라와 집안을 망치는 고질이라고 보고 유언을 남겨 자녀들을 경계시켰다. 그는 소론 가운데에서도 온건파로서 조문명과 송인명(宋寅明) 등이 주도했던 탕평책(蕩平策)에 적극 동조하였다.

[후손]
부인 한산 이씨(韓山李氏)는 형조 판서를 지낸 이규령(李奎齡)의 딸이다. 3남을 두었는데, 1남은 박사휴(朴師休), 2남은 박사검(朴師儉), 3남은 박사준(朴師儁)이다.

[참고문헌]
■ 『경종실록(景宗實錄)』
■ 『영조실록(英祖實錄)』
■ 『국조보감(國朝寶鑑)』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홍재전서(弘齋全書)』

■ [집필자] 박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