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심회(沈澮)

서지사항
항목명심회(沈澮)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정치·행정가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418년(태종 18)∼1493년(성종 24) = 76세]. 조선 전기 문종(文宗)~성종(成宗) 때의 문신. 좌의정(左議政)영의정(領議政) 등을 지냈다. 봉작은 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이고, 시호는 공숙(恭肅)이며, 자는 청보(淸甫)이다. 본관은 청송(靑松)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영의정부사(領議政府事)를 지낸 청천부원군(靑川府院君) 심온(沈溫)이고, 어머니 순흥 안씨(順興安氏)는 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으로, 안천보(安天保)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좌의정을 지낸 청성백(靑城伯) 심덕부(沈德符)이며, 증조할아버지는 고려 때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청화부원군(靑華府院君) 심용(沈龍)이다. 조선의 4대 임금인 세종(世宗)의 정비(正妃) 소헌왕후(昭憲王后)의 동생이기도 하다.

[문종(文宗)~세조(世祖) 시대 활동]
1418년(세종 즉위년) 상왕(上王)이던 태종(太宗)이 외척 등을 견제하기 위하여 <강상인(姜尙仁)의 옥사(獄事)>를 일으켰는데, 이때 소헌왕후의 아버지 심온이 이에 연루되어 사사(賜死)되었다.[『세종실록(世宗實錄)』 세종 즉위년 11월 23일, 세종 즉위년 12월 23일, 세종 즉위년 12월 25일] 그런 이유로 소헌왕후의 동생이던 심회(沈澮)는 세종 때에 등용되지 못하였으나, 문종 즉위 후 1451년(문종 1) 동생 심결(沈決)과 함께 돈녕부(敦寧府) 주부(主簿)로 제수되었다가, 돈녕부 부지사(副知事)가 되었다.[『문종실록(文宗實錄)』 문종 1년 8월 6일, 『심회신도비명(沈澮神道碑銘)』] 이어 단종(端宗) 즉위 후에는 1454년(단종 2) 중추원(中樞院) 첨지사(僉知事)와 돈녕부 동지사(同知事)를 역임하였다.[『단종실록(端宗實錄)』 단종 2년 6월 27일, 단종 2년 8월 5일, 단종 3년 4월 4일]

그러다가 1455년(세조 1) 세조가 즉위하자, 형 심준(沈濬) 및 동생 심결과 함께 좌익원종공신(左翼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세조실록(世祖實錄)』 세조 1년 12월 27일] 이후 세조는 심회를 매우 융숭하게 대우하면서 항상 그를 숙부(叔父)라 부르며 이름을 부르지 않았다고 한다.[『세조실록』 세조 3년 3월 28일] 세조 대에도 동녕부 동지사를 역임하던 심회는 1457년(세조 3) 중추원사(中樞院使)를 거쳐 공조 판서(判書)가 되었다.[『세조실록』 세조 1년 12월 27일, 세조 2년 3월 19일, 세조 3년 3월 28일, 세조 3년 7월 5일, 세조 3년 7월 21일] 이때 세조는 “내가 심회를 쓰는 것은 척속이기 때문이 아니다. 진실로 재간(才幹)이 없으면 결단코 일을 맡길 수가 없다. 그 인품이 정밀하고 밝은데 경들은 다만 그 일하는 것만을 볼 뿐이다.”라며 그에 대한 신임을 드러냈다.[『세조실록』 세조 3년 7월 22일]

이후 1458년(세조 4)부터는 중추원 부사(副使)와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 중추원 판사(判事), 전라도모민체찰사(全羅道募民體察使), 전라도도체찰사(全羅道都體察使), 중추원사, 중추원 영사(領事), 형조 판서, 경기도관찰사(京畿道觀察使) 등을 역임하였다.[『세조실록』 세조 4년 5월 11일, 세조 4년 6월 28일, 세조 5년 6월 3일, 세조 5년 7월 3일, 세조 5년 7월 18일, 세조 5년 12월 24일, 세조 6년 1월 22일, 세조 6년 11월 12일, 세조 6년 윤11월 11일, 세조 7년 4월 15일, 세조 7년 10월 9일, 『역대요람(歷代要覽)』] 그리고 1466년(세조 12)에는 좌의정에 올라 예문관(藝文館)춘추관(春秋館)의 직책을 겸임하였으며, 이듬해인 1467년(세조 13)에는 영의정과 세자 사부가 되었다.[『세조실록』 세조 12년 10월 19일, 세조 13년 5월 20일, 세조 13년 7월 3일] 한편 같은 해에 <이시애(李施愛)의 난>이 발생하였는데, 이를 평정한 후 심회는 그 전모를 적은 전문(箋文)을 작성하기도 하였다.[『세조실록』 세조 13년 8월 19일]

[예종(睿宗)~성종(成宗) 시대 활동]
1468년(예종 즉위년) 예종이 즉위하자마자 <남이(南怡)의 모반 사건>이 발생하였다.[『예종실록(睿宗實錄)』 예종 즉위년 10월 24일] 남이는 세조의 총애를 받았던 인물로, 북벌의 공을 인정받아 1468년(세조 14) 병조 판서까지 오르면서 여러 사람들의 견제를 받았다.[『세조실록』 세조 14년 8월 23일] 그런데 예종이 즉위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남이가 숙직을 하다가 혜성을 보고, “혜성이 나타남은 묵은 것을 없애고 새 것을 나타나게 하려는 징조이다.”라고 하였다며, 유자광(柳子光)이 남이가 역모를 계획한다고 무고(誣告)하였다.[『예종실록』 예종 즉위년 10월 24일] 결국 남이는 처형되었고, 이후 예종은 역모 사건을 해결한 공신들을 익대공신(翊戴功臣)으로 삼았다.[『예종실록』 예종 즉위년 10월 27일] 이때 심회는 수충보사정난익대이등공신(輸忠保社定難翊戴二等功臣)에 녹훈되는 동시에 청송군(靑松君)에 봉해졌다.[『예종실록』 예종 즉위년 10월 28일, 예종 즉위년 10월 30일, 예종 1년 5월 20일]

성종 즉위 후 1470년(성종 1) 심회는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호전(戶典)」과 「공전(工典)」, 「이전(吏典)」을 교정하였다.[『성종실록(成宗實錄)』 성종 1년 2월 9일, 성종 1년 2월 11일] 이어 1471년(성종 2) 성종은 자신의 즉위 및 보좌에 공이 있는 공신들을 좌리공신(佐理功臣)으로 녹훈하였는데, 이때 심회는 순성명량경제좌리이등공신(純誠明亮經濟佐理二等功臣)이 되었다.[『성종실록』 성종 2년 3월 27일] 그리고 1476년(성종 7)에는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청송부원군(靑松府院君)의 봉작을 받았다.[『성종실록』 성종 7년 5월 27일] 이 해에 그는 좌의정이 되었으며, 이어 주문사(奏聞使)로서 아들 심한(沈澣)과 함께 북경(北京)에 가서 성종의 계비(繼妃)이자 연산군(燕山君)의 생모인 윤기무(尹起畝)의 딸을 왕비로 삼는 것에 대한 고명과 칙서를 받아 돌아왔다.[『성종실록』 성종 7년 8월 4일, 성종 7년 8월 11일, 성종 7년 8월 22일, 성종 7년 12월 10일, 성종 8년 1월 24일, 성종 8년 2월 4일] 그러나 1477년(성종 8) 왕비 윤씨가 다른 후궁들에 대한 질투가 심하므로 폐비(廢妃)를 시켜야 한다는 논의가 제기되었는데, 이때 심회는 다른 날의 큰일을 생각하여 용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성종실록』 성종 8년 3월 29일, 성종 8년 3월 30일] 그렇지만 계속 이것이 문제가 되었고, 결국 그는 입장을 바꿔 왕비 윤씨를 별궁(別宮)에 폐처(廢處)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냈지만, 폐비시키고자 하는 성종의 의지를 꺾지는 못하였다.[『성종실록』 성종 10년 6월 2일] 한편 이무렵 심회는 온양군(溫陽郡)에 소속되어 있는 공노비가 아버지 심온이 데리고 있던 여자 노비가 도망가서 낳은 자손이므로 자신의 노비라며 노비 송사를 벌이고 있었다.[『성종실록』 성종 10년 3월 28일, 성종 10년 3월 30일] 이 과정에서 판결이 나지 않았음에도 심회는 그 노비를 집으로 데리고 와서 일을 시켰는데, 이것이 문제가 되어 추국 끝에 체직되었다.[『성종실록』 성종 10년 7월 2일, 성종 10년 7월 3일, 성종 10년 7월 7일, 성종 10년 7월 24일, 성종 10년 7월 26일, 성종 10년 7월 27일]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대광보국숭록대부 청송부원군의 관작을 다시 제수받았다.[『성종실록』 성종 10년 8월 1일]

이후 영사로서 계속 조정 업무를 보다가, 1482년(성종 13)에는 경기진휼사(京畿賑恤使)의 업무를 보기도 하였다.[『성종실록』 성종 10년 9월 5일, 성종 13년 2월 6일, 성종 13년 2월 8일, 성종 16년 4월 7일] 그런 가운데 1482년 8월에는 폐비윤씨의 사사(賜死)를 논의할 때 그 역시 참석하여 대의(大義)로써 결단을 내릴 것을 촉구하기도 하였다.[『성종실록』 성종 13년 8월 16일] 한편 1486년(성종 17) 그는 이듬해에 70세가 되므로 나이가 많다며 사퇴하고자 하였으나 성종이 허락하지 않았다.[『성종실록』 성종 17년 12월 19일] 이후 군자조성도감(軍資造成都監) 도제조(都提調) 등을 역임하다가 1491년(성종 22)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성종실록』 성종 19년 5월 18일, 성종 22년 6월 1일, 성종 22년 10월 17일] 그리고 1493년(성종 24) 1월 12일에 세상을 떠났으니, 향년 76세였다.[『성종실록』 성종 24년 1월 12일] 이때 성종은 소선(素膳)을 들며,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다고 전해진다.[『성종실록』 성종 24년 1월 13일]

한편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은 자신의 생모인 폐비윤씨(廢妃尹氏)의 추숭을 내세워 폐비윤씨의 죽음과 관련된 이들을 처벌하는 <갑자사화(甲子士禍)>를 일으켰다. 이때 연산군은 심회가 처음에는 폐비윤씨의 폐출을 반대하다가, 후에 고집을 꺾어 동조했다는 죄를 들어 관작을 추탈(追奪)하고 부관참시(剖棺斬屍)하였다.[『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연산군 10년 4월 18일, 연산군 10년 윤4월 21일, 연산군 10년 5월 1일,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권6 「연산조고사본말(燕山朝故事本末)」] 그러나 1506년(중종 1) 중종(中宗)이 왕위에 오르면서, 심회는 그해 10월 신원(伸寃)되었다.[『중종실록(中宗實錄)』 중종 1년 10월 7일, 중종 1년 10월 8일]

[성품과 일화]
심회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성품이 대범하고 중후하여, 비록 학술은 없어도 천성이 정직하였다. 그가 나라의 정사를 의논할 때에는 영합하거나 부회(傅會)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신중하고 치밀하여 훈공(勳功)의 칭호를 보전할 수 있었으니, 외척의 현명함으로써 심회만한 자가 없었다.[『성종실록』 성종 24년 1월 12일] 또한 자기의 의지를 굽히고 학문에 뜻을 두며, 겸손하고 공순하여 법도에 맞았다.[『세조실록』 세조 3년 3월 28일] 이 외에도 자라면서 순순하게 예를 행하여 조금도 교만하거나 귀한 체하는 습관이 없고 오직 학문으로 일삼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심회신도비명』]

한편 1474년(성종 7) 양모(養母)인 족고모(族姑母)가 세상을 떠나자, ‘심회는 중신(重臣)으로서 바야흐로 국정 의론을 도모해야 하거늘 사은(私恩)을 가지고 중책을 벗을 수 없고 또 예에도 맞지 않습니다.’라는 의견이 있었다. 그러자 심회가 말하기를, ‘정이 있는 곳에는 예도 따르는 법이다. 내 어찌 길러 준 은혜를 잊고 사사롭게 그 몸이 편하기만을 계획하겠는가?’ 하면서, 상(喪)에 달려가서 최복(衰服)을 입고 3년상을 마치니, 식견이 있는 사람들은 공이 의리를 지킨다고 칭찬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심회신도비명』]

성품이 간엄(簡嚴)하여 벼슬자리에 있으면서 일을 볼 때는 바른 도리를 지키고 아부하지 않았으므로 사람들이 감히 사사로운 일로 청하지 못하였으며, 핵심적인 일에 힘쓰고 분경(紛更)하는 일을 좋아하지 않으면서 부지런히 공무에 최선을 다하여 나라 걱정을 집 걱정하듯 하였다. 평상시에는 비록 추운 겨울이나 무더운 여름날에도 반드시 꿇어앉아 있었으며, 자질(子姪)에게도 반드시 의관을 정제한 다음 맞이하였으니 청탁하러 오는 사람이 없었다.[『심회신도비명』]

[묘소와 후손]
심회의 시호는 공숙으로, 공(恭)은 공경하고 순종하며 임금을 섬긴 것을 뜻하며, 숙(肅)은 강직한 덕을 지녀 능히 대성함의 뜻이다.[『성종실록』 성종 24년 1월 12일] 묘소는 경기도 파주시 월룡면 영태리에 있다. 심회의 조카 노사신(盧思愼)의 부탁으로 어세겸(魚世謙)이 신도비명을 지었다.[『심회신도비명』]

부인 원주 김씨(原州金氏)는 김연지(金連枝)의 딸로, 슬하에 3남을 두었다. 1남 심인(沈潾)은 통정대부(通政大夫) 병조 참의(參議)를 지냈고, 2남 심한은 순성좌리공신(純誠佐理功臣) 가선대부(嘉善大夫) 청천군(靑川君)이며, 3남 심원(沈湲)은 봉렬대부(奉列大夫) 내자시(內資寺) 판관(判官)을 지냈다.[『성종실록』 성종 13년 4월 23일, 성종 24년 1월 12일, 『심회신도비명』]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문종실록(文宗實錄)』
■ 『단종실록(端宗實錄)』
■ 『세조실록(世祖實錄)』
■ 『예종실록(睿宗實錄)』
■ 『성종실록(成宗實錄)』
■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 『중종실록(中宗實錄)』
■ 『국조보감(國朝寶鑑)』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역대요람(歷代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심회신도비명(沈澮神道碑銘)』
■ 『미수기언(眉叟記言)』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임하필기(林下筆記)』

■ [집필자] 홍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