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문홍헌(文弘獻)

서지사항
항목명문홍헌(文弘獻)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사회운동가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551년(명종6)∼1593(선조26)= 43세]. 조선 중기 선조 때의 의사(義士). 임진왜란 때에 순절한 의병(義兵). 자는 여징(汝徵), 호는 경암(敬菴)이다. 본관은 능성(綾城)인데, 세거지는 전라도 능주(綾州)이다. 진사 문검(文儉)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순절]
1582년(선조15) 사마시(司馬試)에 2등으로 합격하였으나, 대과에는 거듭 실패하였다. 1592년(선조25) 4월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전라도 능주(綾州)에서 몇 사람의 동지들과 의병(義兵)을 모아 초토사(招討使)고경명(高敬命)의 군대에 들어가서, 그를 따라 금산(錦山)의 싸움에 참가하였다. 그 싸움에서 패배하자 문홍헌은 의병을 수습하여 병사(兵使) 최경회(崔慶會)를 추대하여 맹주(盟主)로 삼고, 그 막하(幕下)의 참모(參謀)가 되었다. 그때 군중(軍中)의 모든 일을 그가 맡아서 관리하였으므로, 그가 아니면 아무 일도 할 수가 없었다 한다. 1593년(선조26) 6월 여러 의병장(義兵將)들이 함안(咸安)에서 진주성(晉州城)으로 들어가는데, 최병사가 문홍헌을 가로막으면서, “그대의 무리가 따라가서 한갓 죽기만 하는 것은 아무런 보탬이 안 된다.” 하였다. 그리고 곧장 전라도로 돌아가서 다시 의병을 모아 거사를 도모하는 것이 좋겠다고 만류하였다. 그러나 문홍헌은 “이미 함께 일하기로 하였는데, 의리로 보더라도 혼자만 살 수가 없습니다.” 하고, 끝내 진주성으로 따라 들어갔다. 왜적과 싸우다가 진주성이 함락되자, 그는 최 병사와 함께 강물에 뛰어들어 자결하였다. 이때 김해 부사 이종인(李宗仁)도 왜적을 양팔에 끼고 강에 몸을 던졌다. 정자(正字) 오차(吳玼), 참봉(參奉) 고경형(高敬兄) 등이 모두 따라 죽었다.

[성품과 추모]
문홍헌은 믿음직하고 의로운 자질을 가지고 있었으며 성격이 온화하고 이론이 공평하였으므로 사람들이 호남 지방의 큰 선비로 반드시 그를 꼽았다고 한다.


안방준(安邦俊)이 지은 유사(遺事)가 남아 있다.(『은봉전서(隱峯全書)』 권8 「문홍헌(文弘獻)」) 사헌부 지평(持平)으로 추증되었고, 능주(綾州)의 포충사우(褒忠祠宇) 삼충각(三忠閣)에 최경회 · 조현(曺顯)과 함께 배향되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祖實錄)』
■ 『선조수정실록(宣祖修正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보감(國朝寶鑑)』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재조번방지(再造藩邦志)』
■ 『은봉전서(隱峯全書)』
■ 『송천유집(松川遺集)』
■ 『건재집(健齋集)』
■ 『노서유고(魯西遺稿)』
■ 『경암유고(敬庵遺稿)』
■ 『이계집(耳溪集)』
■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
■ 『풍고집(楓皐集)』
■ 『운석유고(雲石遺稿)』
■ 『연재집(淵齋集)』
■ 『기년편고(紀年便攷)』

■ [집필자] 이기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