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생몰년 미상. 자는 공좌(公佐)이다. 본관은 부계(缶溪)인데, 주거지는 경상도 함창(咸昌)이다. 아버지는 의정부 좌참찬(左參贊)홍귀달(洪貴達)이고, 어머니 상주김씨(尙州金氏)는 김숙정(金淑貞)의 딸이다. 성균관 직강(直講)홍언충(洪彦忠)의 막내 동생이다.
[갑자사화와 홍언국]
1495년(연산군1) 증광(增廣) 생원시(生員試)에 2등으로 합격하였다. 음보로 참봉(參奉)에 임명되었는데, 1504년(연산군10) <갑자사화(甲子士禍)>가 일어날 때까지 아버지를 모시고 함께 살았다. 그의 딸이 미모가 뛰어나서 이를 탐한 연산군이 당장 입궁(入宮)시키라고 강요하였으나, 홍귀달은 여러 가지 핑계를 대고 거절하였다. 그러자 연산군이 대노하여 홍귀달을 함경도 경원(慶源)으로 유배하고, 그 아들 4형제도 모두 잡아다가 형신(刑訊)하고 귀양을 보냈다. 그때가 바로 <갑자사화>가 일어나서, 연산군의 생모 윤씨(尹氏)를 폐위할 때 간여한 모든 신하들에게 참혹한 형벌을 내리던 때였다. 아버지 홍귀달은 귀양 가던 도중에 단천(端川)에서 교형을 당하였고, 홍언국은 넷째 형 홍언충과 함께 거제도(巨濟島)에 유배되었는데, 함께 귀양살이하면서 병약한 형을 지성으로 간호하였다.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이 일어나자 유배지에서 석방되어 고향 함창으로 돌아왔는데, 그는 과거를 보지 않고 고향에서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을 썼다. 조정에서 참봉(參奉)에 다시 임명하였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문장(文章)과 지조(志操)로 명성이 있어 사림(士林)에서 그를 존경하였다.
[성품과 일화]
홍언국의 성품과 자질에 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전한다. 그는 집안의 가르침을 받아 날마다 학문을 닦는 데 힘쓰고, 당시의 명문 집안 인사들과 교유(交遊)하였다. 그는 독서하기를 좋아하였고 글씨를 잘 썼다. 그의 필법(筆法)이 절묘하여, 그의 형 홍언충과 함께 명필(名筆)로 소문이 났으나 불행히도 전란을 겪으면서 작품이 모두 없어져버렸다. 그가 쓴 글씨 중 아버지 홍귀달의 신도비만 경상도 문경 전촌리(錢村里: 율곡리)에 남아 있다.
그가 거제도로 유배되었을 때 용재(容齋) 이행(李荇), 읍취헌(挹翠軒) 박은(朴誾), 학고(鶴皐) 이장곤(李長坤) 등 유명한 인사들도 이 섬에 귀양을 와 있었으므로, 그들과 함께 자연스레 어울렸다. 그러다가 1516년 <중종반정>으로 섬에서 풀려나서, 무사히 고향집으로 돌아왔다. 그의 이후 행적에 관하여 홍언국의 「유사(遺事)」에서 “과거 공부를 그만두고 산수(山水)를 유람하면서 지내다가, 죽을 때 자기 명정(銘旌)에 ‘진사(進士)’라고 쓰도록 명하였다”라고 전한다. 그러나 『중종실록(中宗實錄)』에서는, 1509년(중종4) 9월에 사간원에서 그가 “유배지에서는 술을 마시고 고기를 먹었으며 석방된 후에는 첩과 함께 매와 개를 끌고 여러 곳을 돌아다녔으니, 추국하라”며 그를 탄핵한 기사를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