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권희(權憘)

서지사항
항목명권희(權憘)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정치·행정가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547년(명종2)∼1624년(인조2) = 78세]. 조선 중기 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사열(思悅)이고, 호는 남악(南岳)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으로 권상(權常)의 아들이고, 중추부(中樞府) 지사(知事)권황(權愰)의 아우이며 예조 판서 권협(權悏)의 형이다. 나운걸(羅云傑)의 외손자이고 이영서(李榮緖)의 사위이다.

[선조 중기의 활동]
1584년(선조17)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전적(典籍) · 감찰(監察)을 거쳐, 형조 · 호조 · 예조 · 병조의 4조(曹) 낭관(郎官)과 정언(正言) · 지평(持平) 등의 청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25) 종묘서(宗廟署) 영(令)이 되었는데, 그때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서 왜적이 갑자기 들이닥치자, 그는 종묘에 있던 역대 왕들의 신주(神主)와 왕실의 어보(御寶)를 안전하게 행재소(行在所)로 모셨다. 1596년(선조29) 장령(掌令)에 임명되고, 사간(司諫)을 거쳐, 군기시(軍器寺)종부시(宗簿寺)정(正), 헌납(獻納) · 집의(執義)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1596년(선조29) 진위사(陳慰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중국 북경(北京)에 다녀왔다.

[선조 후기의 활동]
1597년(선조30)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발탁되어, 우승지 · 좌승지를 거쳐서 마침내 도승지(都承旨)에 이르렀다. 1599년(선조32) 병조 참의 · 예조 참의 등을 거쳐서 다시 도승지에 임명되었는데, 진하사(陳賀使)가 되어 중국 북경(北京)을 다녀와서, 병을 핑계로 도승지에서 물러났다. 사림파(士林派)에서 그가 아첨을 잘한다고 비난하였기 때문이다. 1602년(선조35) 대사간에 임명되었을 때 성혼(成渾) 계열의 산림학파(山林學派)가 대두하는 것을 막으려고 노력하였다. 주청사(奏請使)가 되어 중국 북경(北京)을 다녀와서, 호조 참판 · 형조 참판 · 예조 참판을 역임하고, 한성부좌윤을 거쳐, 황해도관찰사 · 충청도관찰사와 강화(江華) · 금산(錦山) · 광주(廣州) 3고을의 목민관(牧民官)을 지냈다. 1607년(선조40) 선조는 병이 깊어지자, 그를 다시 도승지로 불러들여 약방(藥房) 부제조(副提調)를 맡겼다. 그는 허준(許浚) 같은 명의(名醫)를 동원하여 선조의 병을 구료하는 데 최선을 다하였으나, 아무런 보람도 없이 선조는 죽고 말았다. 권희가 선조 후기에 여러 번 도승지를 맡은 데다가 임종 전까지 도승지를 맡았다는 것에서, 그는 선조가 가장 신임하는 도승지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해군~인조 시대 원로 우대]
1608년(광해군즉위) 광해군은 즉위한 다음 권희를 중추원 동지사에 임명하여 원로대신으로 우대하였다. 1618년(광해군10) 원로 신하로서 인목대비(仁穆大妃)를 폐위하는 <폐모론(廢母論)>을 주청하는 데에 앞장섰다. 인조도 그를 우대하여 1624년(인조2) 임진왜란 때 종묘의 신주(神主)를 호위한 공로를 포상하여 특별히 자헌대부(資憲大夫)로 승진시켰다.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기도 장단(長湍) 삼정리(三井里)에 있으며, 정두경(鄭斗卿)이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호성(扈聖) 선무(宣武) 원종공신(願從功臣)에 봉해지고, 우의정에 추증되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朝實錄)』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월사집(月沙集)』
■ 『은봉전서(隱峯全書)』
■ 『사류재집(四留齋集)』
■ 『우계집(牛溪集)』
■ 『소재집(蘇齋集)』
■ 『송자대전(宋子大全)』
■ 『남파집(南坡集)』
■ 『용주유고(龍洲遺稿)』

■ [집필자] 이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