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572년(선조5)∼1624년(인조2) = 53세]. 조선 중기 선조~인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운경(雲卿)이고, 호는 수은(睡隱)이다. 본관은 안동(安東)인데, 권근(權近) · 권제(權踶) · 권마(權摩) 계통의 집안으로 경기도 포천(抱川)에 거주하였다. 권현(權晛)의 아들이고, 이희삼(李希三)의 외손자이다.
광해군이 즉위한 후, 1609년(광해군1) <임해군(臨海君) 옥사(獄事)>를 다스린 공으로 통정대부(通政大夫)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었다. 1613년(광해군5) 우승지(右承旨)로 있을 때 <계축옥사(癸丑獄事)>를 다루었는데, 이것이 후일 문제가 되었다. 1618년(광해군10) 한성부 판윤(判尹) · 좌참찬(左參贊)으로 승진하고, 1622년(광해군14) 숭정대부(崇政大夫) 병조 판서에 이르렀다.
[인조 반정 이후 수난]
1623년 <인조반정(仁祖反正)> 때 김류(金瑬) · 홍서봉(洪瑞鳳) 등의 부탁을 받고 제위(諸衛)의 군사를 모아 궁궐을 호위하여 반정을 도왔다. 그러나 김자점(金自點)이 그를 싫어하여 1613년(광해군 5) <계축옥사(癸丑獄事)> 때 그가 형방 승지로서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아버지 김제남(金悌男)을 죽이는 데에 앞장섰다고 무고하여, 경상도 양산(梁山)에 유배시켰다. 1624년(인조2) <이괄(李适)의 반란> 때, 김자점의 사주를 받은 경상도관찰사 민성휘(閔聖徽)가 그를 참형에 처하였다.
[묘소와 비문]
묘소는 경기도 포천(抱川) 선산(先山)에 있는데, 허목(許穆)이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1695년(숙종21) 신원(伸寃)되고 관직이 회복되었다. 첫째 부인은 청송심씨(靑松沈氏) 심용(沈蓉)의 딸이고, 둘째 부인은 풍산심씨(豊山沈氏) 심일취(沈日就)의 딸이다. 자녀는 아들 하나로, 권수(權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