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604년(선조37)∼1675년(숙종1) =72세]. 조선 중기 인조~현종 시대의 문신. 자는 자고(子高)이고, 호는 우곡(愚谷)이다. 본관은 안동인데, 우승지 권확(權鑊)의 아들이고, 안사렴(安士斂)의 외손자이다.
[인조 시대의 활동]
1628년(인조6) 별시 문과에 합격하여, 사헌부(司憲府) 감찰(監察), 병조 좌랑을 거쳐서, 강원도도사(江原道都事)에 임명되었으나, 어버이 병환을 돌보기 위해서 자청하여 면직되었다. 1636년(인조14) 사간원(司諫院)정언(正言)에 임명되었다가, 예조 정랑을 거쳐, 지평(持平)으로 전직되었다. 또 경상도도사(慶尙道都事)와 충청도도사(忠淸道都事)로 나갔다가, 들어와서 다시 장령(掌令)과 헌납(獻納)을 역임하였다. 인조 말년에 군자감(軍資監)정(正), 성균관(成均館)사성(司成)을 거쳐서, 강릉부사(江陵府使)로 나갔다.
[효종 시대의 활동]
1651년(효종2) 종부시(宗簿寺) 정에 임명되었다가, 시강원(侍講院) 문학(文學), 성균관 사예(司藝)에 전직되었다. 1652년(효종3) 서장관(書狀官)으로 연경(燕京)에 다녀와서, 군자감 정, 우통례(右通禮)로 옮겼고, 곧이어 장령 · 헌납 · 필선(弼善)으로 옮겼다가, 승정원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발탁되어, 우부승지(右副承旨) ·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이르렀다. 1656년(효종7) 병조 참의와 좌승지를 거쳐서 밀양부사(密陽府使)로 나갔다가, 조정으로 들어와서 형조 참의 · 좌승지에 임명되었다. 효종 때 승지로서 효종의 북벌 계획을 측근에서 도왔다.
[현종 시대 복제 문제]
1660년 효종이 죽자, 자의대비(慈懿大妃: 장렬왕후)의 복제(服制) 문제로 논쟁이 일어났다. 그는 대비가 1년 동안 상복을 입어야 한다는 기년설(期年說)을 주장하면서, 3년 동안 상복을 입어야 한다는 3년설을 주장하는 윤선도(尹善道)를 공격하다가 파면되었다. 1663년(현종4) 동지부사(冬至副使)로 연경(燕京)에 다녀와서, 병조 참의 · 우승지 · 장례원(掌隸院) 판결사(判決事)를 역임하고, 경주부윤(慶州府尹)으로 나갔다. 1666년(현종7) 가선대부(嘉善大夫)로 승진하여, 한성부좌윤(漢城府左尹) ·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과 공조 참판을 역임하고, 부총관(副摠管)을 겸임하였다.
[무덤과 비문]
묘소는 경기도 양주(楊州) 화접동(花蝶洞)에 있는데, 오도일(吳道一)이 지은 묘지명(墓誌銘)이 남아 있다.(『서파집(西坡集)』 권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