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권상(權常)

서지사항
항목명권상(權常)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정치·행정가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총론]
[1508년(중종3)∼1589년(선조22) = 82세]. 조선 중기 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길재(吉載)이고, 호는 남강(南岡)이다. 본관은 안동인데, 거주지는 서울이다. 권진(權振)의 아들이며 신회(申澮)의 외손자이고 선조(宣祖)의 국구(國舅)인 김제남(金梯男)의 외조부이다.

[음직(蔭職)과 노인직(老人職)]
1528년(중종23) 진사 시험에 합격하고, 문소전(文昭殿) 참봉(參奉)에 임명되었다. 1529년(중종24) 여자 종 석비(石非)를 구타하여 죽였다고 고소를 당하여 관직에서 쫓겨나서, 20여 년 동안 한가하게 지냈다. 1555년(명종10) 직장(直長)에 임명되어, 1565년(명종20) 의금부(義禁府) 도사(都事)를 거쳐서 한성부참군(漢城府參軍)으로 옮겼다. 이윽고 사옹원(司甕院) 주부(主簿)로 전직되었다가, 운봉현감(雲峯縣監)으로 나갔는데, 재직 중 부지런하고 청렴하였다는 평을 들었다. 이어서 동부주부(東部主簿), 장례원(掌隸院) 사평(司評), 용강현령(龍岡縣令), 사옹원 판관(判官), 예빈시(禮賓寺) 판관, 종친부(宗親府) 전첨(典籤), 광흥창(廣興倉) 수(守), 풍저창(豊儲倉) 수, 전설사(典設司) 수, 예빈시 부정(副正) 등을 거치면서 부임한 곳마다 직무를 잘 수행하였다.

1583년(선조16) 선공감(繕工監) 정에 이르렀는데, 이 해에 효행으로 천거되어 통정대부(通政大夫)의 품계에 올랐다. 또 1587년(선조20) 80세에 노인직(老人職)으로 가선대부(嘉善大夫)의 품계를 받고 중추부 지사가 되었다.

[무덤과 제향]
1589(선조22)년 82세로 사망하였는데, 묘소는 통진현(通津縣) 선영(先塋)에 있으며, 이항복(李恒福)이 지은 비명(碑銘)이 남아 있다. 청주의 백록서원(白鹿書院)에 제향되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중종실록(中宗實錄)』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朝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어촌집(漁村集)』
■ 『백사집(白沙集)』

■ [집필자] 이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