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총론]
[1520년(중종15)∼1593년(선조26) = 74세]. 조선 중기 중종~선조 때 활동한 문신. 자는 대수(大手), 호는 습재(習齋)이다. 본관은 안동이고 주거지는 서울이다. 좌승지(左承旨)권기(權祺)의 아들이며, 목사 김세영(金世英)의 외손자이다.
[관직 진출 침체]
24세이던 1543년(중종38)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藝文館) 검열(檢閱)을 거쳐 홍문관(弘文館)정자(正字)에 발탁되었다. 이때에 안명세(安名世) · 윤결(尹潔) 등 청류 선비들과 교유를 즐겼는데 1545년(명종즉위) <을사사화(乙巳士禍)>가 일어나서 두 사람이 당시 대윤(大尹) 윤임(尹任) 등과 친하다며, 소윤(小尹) 윤원형(尹元衡) 일파에게 죽음을 당하는 것을 보고, 모든 사람과 교유를 끊고 오로지 학문에만 몰두하였다. 그 결과 명종 시대에는 관직이 침체되었으나, 선조 시대에는 많은 활동을 하였다.
외직(外職)은 성주목사(星州牧使) · 원주목사(原州牧使) · 여주목사(驪州牧使)와 선산부사(善山府使) · 장단부사(長湍府使)· 안변부사(安邊府使)를 지냈다. 1578년(선조11) 3월 순무어사(巡撫御使) 허봉(許篈)의 탄핵을 받아 안변부사에서 파직당하였다. 그 뒤에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를 역임하였다.
[외교 및 저술 활동]
그는 중국과 왕래하는 외교문서에 쓰이는 이문(吏文)에 밝아서 1572년(선조5) 춘당대(春塘臺) 이문시(吏文試)에서 3등으로 합격하였다. 원접사(遠接使)의 종사관(從事官)이 되어 중국 사절을 접대하였고, 선위사(宣慰使)가 되어 일본에서 파견한 사절을 접대하였다. 또 서장관(書狀官)과 동지사(冬至使)에 임명되어 두 번이나 중국 연경(燕京)을 다녀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