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권극지(權克智)

서지사항
항목명권극지(權克智)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정치·행정가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총론]
[1538년(중종33)∼1592년(선조25) = 55세]. 조선 중기 명종 · 선조 때에 활동한 문신. 자는 택중(擇仲)이고, 본관은 안동으로 권덕유(權德裕)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 권극례(權克禮)의 동생이다. 또 조계상(曺繼商)의 외손이고, 이이수(李頤壽)사위이며 좌의정(左議政) 이정귀(李廷龜)의 장인이다.

[명종 시대 활동]
30세이던 1567년(명종22) 문과(文科)에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에 선발되었다. 명종이 돌아가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할 때, 예문관 봉교(奉敎)로서 춘추관의 기주관(記註官)이 되었다. 이때, 형 권극례(權克禮)는 편찬관이 되어, 형제가 나란히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선조 시대 활동]
선조 초기에 예조 · 병조 · 형조의 좌랑과 직강(直講), 사예(司藝), 사성(司成), 수찬(修撰), 교리(校理), 응교(應敎), 직제학(直提學), 정언(正言), 헌납(獻納), 사간(司諫), 지평(持平), 장령(掌令), 집의(執義), 사인(舍人)사복시(司僕寺) · 예빈시(禮賓寺) · 장악원(掌樂院)정(正)을 두서너 번씩 지냈는데, 교리 · 사간 · 사인을 여러 번 지냈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에 형 권극례와 함께 관련되었다고 조헌(趙憲)에게 탄핵을 당했다.

1589년(선조22)에 대사헌으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1591년(선조24) 형조 참판 및 경연 동지사 · 예조 판서가 되었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備邊司)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이 되어, 침식을 잊고 어려운 국사에 매달리다가 병을 얻어 사직했다. 전쟁 중에 국세가 날로 위급해가는 것을 보고 울분을 참지 못한 채 피를 토하고 운명하였다.

[무덤과 공적]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묘소는 임진왜란 중에 사위 이정귀가 가까운 언덕에 매장하였다가 왜적에게 도굴당하였다. 그 뒤에 시신을 거두어 경기도 양주(楊州) 천천리(泉川里)에 장례를 지냈는데, 사위 이정귀가 지은 묘표(墓表)가 남아 있다.

표문(表文)과 책문(策文)에 뛰어나서, 중국 명(明)나라와 왕래하던 외교 문서를 많이 지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월사집(月沙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 『초간집(草澗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기축록(己丑錄)』
■ 『청음집(淸陰集)』
■ 『혼정편록(混定編錄)』

■ [집필자] 이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