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권극지(權克智)

서지사항
항목명권극지(權克智)
용어구분인명사전
분야정치·행정가
유형인물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총론]
[1538년(중종33)∼1592년(선조25) = 55세]. 조선 중기 명종 · 선조 때에 활동한 문신. 자는 택중(擇仲)이고, 본관은 안동으로 권덕유(權德裕)의 아들이며 이조 판서 권극례(權克禮)의 동생이다. 또 조계상(曺繼商)의 외손이고, 이이수(李頤壽)사위이며 좌의정(左議政) 이정귀(李廷龜)의 장인이다.

[명종 시대 활동]
30세이던 1567년(명종22) 문과(文科)에 합격하여 승문원(承文院)에 선발되었다. 명종이 돌아가고 『명종실록(明宗實錄)』을 편찬할 때, 예문관 봉교(奉敎)로서 춘추관의 기주관(記註官)이 되었다. 이때, 형 권극례(權克禮)는 편찬관이 되어, 형제가 나란히 실록 편찬에 참여하였다.

[선조 시대 활동]
선조 초기에 예조 · 병조 · 형조의 좌랑과 직강(直講), 사예(司藝), 사성(司成), 수찬(修撰), 교리(校理), 응교(應敎), 직제학(直提學), 정언(正言), 헌납(獻納), 사간(司諫), 지평(持平), 장령(掌令), 집의(執義), 사인(舍人)사복시(司僕寺) · 예빈시(禮賓寺) · 장악원(掌樂院)정(正)을 두서너 번씩 지냈는데, 교리 · 사간 · 사인을 여러 번 지냈다. <정여립(鄭汝立)의 옥사>에 형 권극례와 함께 관련되었다고 조헌(趙憲)에게 탄핵을 당했다.

1589년(선조22)에 대사헌으로서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온 뒤 1591년(선조24) 형조 참판 및 경연 동지사 · 예조 판서가 되었다. 1592년(선조25)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비변사(備邊司)의 유사당상(有司堂上)이 되어, 침식을 잊고 어려운 국사에 매달리다가 병을 얻어 사직했다. 전쟁 중에 국세가 날로 위급해가는 것을 보고 울분을 참지 못한 채 피를 토하고 운명하였다.

[무덤과 공적]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묘소는 임진왜란 중에 사위 이정귀가 가까운 언덕에 매장하였다가 왜적에게 도굴당하였다. 그 뒤에 시신을 거두어 경기도 양주(楊州) 천천리(泉川里)에 장례를 지냈는데, 사위 이정귀가 지은 묘표(墓表)가 남아 있다.

표문(表文)과 책문(策文)에 뛰어나서, 중국 명(明)나라와 왕래하던 외교 문서를 많이 지었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명종실록(明宗實錄)』
■ 『선조실록(宣祖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월사집(月沙集)』
■ 『율곡전서(栗谷全書)』
■ 『초간집(草澗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기축록(己丑錄)』
■ 『청음집(淸陰集)』
■ 『혼정편록(混定編錄)』

■ [집필자] 이현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