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광록시(光祿寺)

서지사항
항목명광록시(光祿寺)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양온서(良醞署), 장혜서(掌醢署), 진수서(珍羞署), 태관서(太官署)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명·청 시기에 제사 혹은 연회의 제수용품이나 음식을 담당하는 관청.

[개설]
국가의 제사가 있을 때 희생 및 제수용품을 준비하거나 원단(元旦)·만수(萬壽)·동지(冬至) 및 국가의 혼례(婚禮)의 경우 연회를 준비하는 관청이었다. 진·한대에 궁정 숙위(宿衛) 및 시종들의 장관으로서 낭중령(郎中令)이 있었는데 북제(北齊)시대에 이르러 광록시에 경(卿)과 소경(少卿)을 두었고 황실의 음식을 전담하며 그 성격이 뚜렷해졌다. 명·청 시기에는 광록시경(光祿寺卿)·소경(少卿)·승(丞)·주부(主簿)를 두었고 그 아래 대관(大官)·진수(珍羞)·양온(良醖)·장해(掌醢)의 부서가 있어서 제사나 각종 연회에 제수용품이나 희생물 그리고 음식 등을 준비하고 분배하는 일을 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명 건국 이전인 1367년(오왕 원년) 원사관(院使官)을 설치하고 그 아래로 음식을 관장하는 상식(尙食)·상예(尙醴) 두 부서를 두었다. 1368년(홍무 원년) 광록시에 경·소경을 두고 그 기구로 대관·진수·양온·장해의 부서를 두었다. 국가의 제사가 있을 때 광록시에서는 희생을 직접 살피고 제사가 끝나면 제사에 쓰인 고기 등을 각급 아문에 돌렸다. 원단·만수·동지 및 국가 황실의 혼례가 있을 때 모두 연회를 준비하였다. 또한 상례에는 음식과 제수용품을 준비하였으며 승·도사 등이 경을 외우는 경우에도 그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외에도 광록시에서는 관원들에게 음식을 나누어 주는 일이나 공가에서 필요로 하는 각 물건은 모두 아문의 공문에 근거에 따라 분배하였고 연종연(年終宴: 한 해를 보내며 베푸는 연회)에는 조공을 바치러 온 몽골 사절에게 음식을 지급하기도 하였다. 조선의 사절 역시 연종연 등에 참여하면서 광록시로부터 설음식 및 잔칫상을 받았다[『정조실록』 12년 3월 26일][『정조실록』 12년 3월 26일].

[조직 및 역할]
광록시경·소경·승·주부 각 1명씩을 두었다. 광록시경은 제사·조회(朝會)·연향주례(宴鄉酒醴)의 음식 관련의 일을 맡아 그 준비와 출납의 일을 맡았고 소경은 그 일을 보좌하였다. 각 부서 중 태관서(太官署)는 사당이나 연회에 제공할 음식을 담당하였고 진수서(珍羞署)는 제사·조회·빈객을 위한 여러 음식을 준비하였다. 양온서(良醞署)은(는) 태묘(太廟)에 제사를 지낼 술을 담당하며 장혜서(掌醢署)는 젓갈과 식초 절임 채소 등을 담당하였다.

[변천] 명청시대

진(秦)·한(漢)대에 궁정 숙위 및 시종들의 장관으로서 낭중령(郎中令)이 있었다. 한(漢) 무제대에 광록훈(光祿勳)을 설치하였는데 동한(東漢)대에 다시 낭중령의 이름을 회복하였다. 위·진과 남조의 송·제 및 북위 모두 낭중령의 명칭이 사용되었다. 북제시대에 이르러 광록시를 설치하였는데 경과 소경을 두어 황실의 음식을 전담하며 그 성격이 뚜렷해졌다. 수대의 광록시는 태관(太官)·효장(肴藏)·양온(良醞)·장혜(掌醢)의 네 부서를 거느렸다. 당대의 제도도 수대와 비슷하였지만 소관 부서였던 효장의 이름을 진수(珍羞)로 바꾸었다. 명·청시대에는 당제와 같았는데 다만 태관의 명칭을 대관(大官)이라고 한 것만 달랐다. 광록시 아래 각 기구에는 각각 서정(署正)·서승(署丞)과 함께 사생사(司牲司)·사목국(司牧局)·은고(銀庫)등의 담당관이 있었다. 북경 천도 후 남경에도 북경과 같이 광록시의 관제가 존재하였다. 청대에는 명의 제도를 이어 1644년 광록시가 설치되었는데, 1661년 이후 예부(禮部)에 속하였다가 1671년(강희 10)년 예부에서 독립되었다. 1906년(광서 32) 예부에서 관할하였다.

[참고문헌]
■ 俞鹿年 編著, 『中國官制大辭典』, 黑龍江人民出版社, 1992.

■ [집필자] 한지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