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통아(筒兒)

서지사항
항목명통아(筒兒)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덧살, 시도(矢道), 통(筒)
관련어편전(片箭), 중후(中侯)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짧은 화살을 끼워 넣어 발사하는 대롱 형태의 보조 도구.

[개설]
무과 시험에서 두 번째 시험으로 본 중후(中侯)에서 짧은 화살을 멀리 보내기 위하여 화살에 덧대어 쏠 때 사용하는 보조 도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참나무나 대나무를 둥글게 깎은 후 그 속을 파내고 사용하였다.

[연원 및 변천]
화살의 길이가 짧을 경우 활을 가득 당겨 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짧은 화살인 편전(片箭)을 큰 활로 당겨 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보조 도구인 통아(筒兒)를 이용하였다. 보통 통아의 한쪽 끝은 작은 구멍에 실을 매달아 가운뎃손가락이나 손목에 걸어 사용하였다. 활에 걸어서 쏠 경우에는 통아의 개방된 면이 사람을 중심으로 바깥쪽으로 가게 하여 편전을 쏘았다. 편전은 화살이 짧은 대신 비행 속도가 빨라서 일반 화살에 비하여 관통력이 우수하고, 통아가 없을 경우 적이 화살을 주워서 재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편전은 일반 장전(長箭)과 달리 날아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서 조선의 비밀병기로 쓰인 무기이기도 하다. 특히 북방 이민족과 남방의 왜구에게 통아를 이용하여 편전을 쏘는 법을 감추기 위해 해당 지역에서는 수련을 금지시키기도 하였다[『세종실록』 19년 3월 6일].

[형태]
##00016595_그림1_통아에 편전을 넣어 활을 당기는 모습

[참고문헌]
■ 『무과총요(武科總要)』
■ 임선빈·심승구 외, 『조선전기 무과 전시의 고증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998.
■ 심승구, 「조선시대 무과에 나타난 궁술과 그 특성」, 『학예지』10, 2000.
■ 최형국, 「조선시대 기사 시험방식의 변화와 그 실제」, 『중앙사론』24, 2006.

■ [집필자] 최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