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대우전(大羽箭)

서지사항
항목명대우전(大羽箭)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시(矢), 전(箭)
동의어동개시(筒箇矢)
관련어박두(樸頭), 목전(木箭), 편전(片箭), 유엽전(柳葉箭)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기병이 동개궁으로 사용한 것으로 화살 깃이 커서 직진성이 강화된 화살.

[개설]
대우전(大羽箭)은 말 그대로 화살 깃이 크고 넓은 화살을 말한다. 화살 깃이 커서 화살의 직진성이 강화되어 정확도가 높아지는 대신 바람의 저항을 많이 받아 멀리 날아가지는 못하였다. 기병들이 주로 단거리를 정확하게 쏠 때 사용하였다.

[연원 및 변천]
대우전은 화살의 깃이 다른 화살에 비해 크고 넓었기에 정확도가 높았다. 태조 이성계가 대우전을 사용하여 작은 배 크기의 목표물을 적중시켰을 정도로 다른 화살에 비하여 정확도와 힘이 좋았다. 조선시대에는 기병이 몸에 궁시를 부착할 수 있도록 활을 담는 시복(矢菔)과 화살을 담는 궁대(弓袋)를 함께 동개(筒箇)라고 불렀으며, 여기에 들어가는 활은 크기가 작아 동개궁(筒箇弓)이라고 하였다[『명종실록』 12년 7월 12일]. 동개궁으로 주로 활용한 화살을 대우전 혹은 동개시(筒箇矢)라고 하였다. 일반 화살에 비해 화살의 길이가 짧은 대신 깃이 넓어 근거리 정밀 사격에 효과적이었다.

[형태]
일반 화살과 유사한 형태이지만 길이가 짧고 화살 깃이 넓다.

[참고문헌]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일성록(日省錄)』
■ 『무과총요(武科總要)』
■ 임선빈·심승구 외, 『조선전기 무과 전시의 고증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998.
■ 심승구, 「조선시대 무과에 나타난 궁술과 그 특성」, 『학예지』10, 2000.
■ 최형국, 「조선시대 기사 시험방식의 변화와 그 실제」, 『중앙사론』24, 2006.
■ 최형국, 「조선후기 기병의 마상무예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집필자] 최형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