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배강(背講)

서지사항
항목명배강(背講)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과거(科擧)
동의어배송(背誦)
관련어강경(講經), 강서(講書), 강학(講學), 고강(考講), 면강(面講)
분야정치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경전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구술시험의 하나로, 책을 보지 않고 암송하는 것.

[개설]
경전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방식은 필기시험인 제술(製述)과 구술시험인 고강(考講) 두 가지였는데, 구술시험에는 면강(面講)[혹은 임강(臨講)]과 배강(背講)[혹은 배송(背誦)] 두 가지 방식이 있었다. 강(講)이란 배운 글을 소리 높여 읽고 의리(義理)를 묻고 답하는 전통적인 교수 방법이었다. 면강은 책을 보면서 시험을 치르는 것이고 배강은 책을 보지 않고 돌아앉아서 시험을 치르는 것이었다.

[내용 및 특징]
식년문과회시 초장의 칠서강(七書講)이나 증광문과회시 전에 치르는 일경강(一經講), 즉 삼경 중 자원하는 일경 또는 별시문과회시 전에 치르는 이서강(二書講), 즉 사서 중 추첨하는 일서 및 삼경 중 자원하는 일서 등은 배강으로 치렀으며[『인조실록』 27년 3월 18일][『영조실록』 52년 1월 10일][『정조실록』 4년 6월 24일][『정조실록』 4년 12월 27일], 대과 회시 전에 치르는 전례강(典禮講)이나 소과 회시 전에 치르는 학례강(學禮講), 잡과나 무과의 『경국대전』 고강 등은 면강으로 시행되었다. 이외에도 각종 과거나 시취(試取)에 구술시험으로 고강을 시행할 경우 면강과 배강으로 치러야 할 과목이 법전 상에 명백히 구분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대전회통(大典會通)』
■ 정순목, 『한국서원교육제도연구』,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79.

■ [집필자] 김경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