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금산(金山)

서지사항
항목명금산(金山)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알타이산맥
관련어금산달달(金山達達), 몽골(蒙古), 아이태(阿爾泰), 알타이어(Altai語)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몽골 서부 및 러시아·중국의 국경 지역에 걸쳐 있는 몽골초원의 대표적인 산맥.

[개설]
몽골 초원 서부를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내려간 알타이산맥을 중국 사료에서 금산이라 지칭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알타이산맥은 몽골국 고비알타이, 호브드 그리고 바양울기 등 세 아이막(aimag: 몽골의 행정 구획)을 관통하여 러시아 산지의 알타이 지역에 이르는 전체 길이 1,847㎞의 거대한 산맥이었다. 이 산맥은 러시아알타이와 몽골알타이, 그리고 고비알타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발고도 4,506m의 벨루하(Belukha),: 러시아의 알타이 공화국과 카자흐스탄 경계에 있는 봉우리)를 비롯하여 4,374m의 후이텡(Khuiten) 등 연봉들이 있었다. 또한 에르치스(Erchis, [Irtysh])강, 오비(Ob’)강 등 시베리아와 몽골 초원을 가로지르는 큰 강이 이 산맥으로부터 발원하였다.

‘알타이’는 몽골어의 ‘알(Alt)’과 ‘타이(tai)’가 합성된 말이었다. 몽골어에서 ‘Alt’와 ‘Altan’ 등은 ‘황금’을 뜻하며, ‘tai’는 접미사로서 ‘~와 함께’, ‘~을 가지다’ 등의 뜻이 담겨 있었다. 중국 사료에서는 알타이를 ‘금산(金山)’으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소리보다는 의미를 따서 쓴 표기였다. 한자어로는 ‘아이태(阿爾泰)’라고 음을 따서 표기하기도 하였다.

[내용 및 특징]
알타이산맥은 예부터 유목민족들의 활동 무대였고 돌궐 등의 민족이 이곳에서 발원하여 거대한 국가로 발전하는 등 몽골뿐 아니라 주변 초원 지대의 중심 지역 중 하나였다. 몽골제국 시기에는 카이두(Qaidu)의 통치 하에 있었으며 후일 오이라트(Oyirad)가 이 지역을 중심으로 세력을 확대하였던 중요한 지역이었다. 따라서 알타이어 등 이 산맥 이름을 따서 붙여진 통칭도 있었다.

[변천]
중국 길림성(吉林省) 쌍요(雙遼)의 동북에 있는 산을 금산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조선왕조실록』의 “명나라에 금산달달(金山達達)이 그 누이를 시켜 조공(朝貢)하게 하였다[『태종실록』 13년 10월 11일].”는 기사에서의 금산은, 길림성의 금산을 가리켰다.

[참고문헌]
■ 동북아역사재단 편, 『명사 외국전 역주(明史 外國傳 譯註)』, 동북아역사재단, 2012.
■ ШУА-ийн Түүхийн хүрээлэн, Монгол улсын түүх, Адмон, 2003. (몽골과학아카데미 역사연구소 편, 『몽골국 역사』, 애드몬, 2003.)
■ Монгол улсын ШУА, Монголын үндэсний нэвтэрхий толь, 2009. (몽골과학아카데미 편, 『몽골민족백과사전』, 2009.)

■ [집필자] 체렝도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