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광어(廣魚)

서지사항
항목명광어(廣魚)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비목어(比目魚), 접어(鰈魚), 접어(鯜魚)
분야생활 풍속
유형식재료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넙칫과의 바닷물고기.

[개설]
흔히 넙치라고 불린다. 경상도 지역이 주요 생산지였으며, 가을에 잡아 말린 후 건어물 형태로 사용하였다. 광어는 주로 포를 만들어 먹었고, 다식이나 어육장 등에도 사용하였다.

[원산지 및 유통]
경기도·충청도·경상도·전라도·강원도·평안도·함경도 등지에서 고르게 생산되었으나, 경상도 지역이 가장 중요한 산지였다[『세종실록』 지리지 경상도 경주부 영일현][『명종실록』 1년 2월 19일].

[연원 및 용도]
광어라는 이름은 넙치의 한자어로 넓적하게 생긴 모양에서 나온 말이다. 허균(許筠)은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에서 광어는 동해에서 많이 나며 가을에 말린 것이 끈끈하지 않아 좋다고 하였다. 제철에 잡아 간을 맞춰 말린 후 중국에 진헌하였다[『세종실록』 6년 7월 8일].

조선시대에는 생선을 햇볕에 말려 포로 만들어 먹었는데, 그중에서도 광어·대구·상어로 만든 포는 혼례나 수연(壽宴) 같은 큰 상에 올리기에 아주 적합하였다. 『윤씨음식법(尹氏飮食法)』에는 광어다식 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는데, 광어포의 살을 뜯어서 찧고 체에 친 다음 기름장을 넣고 반죽하여 다식판에 넣고 꾹꾹 눌러 박아 내면 된다.『산림경제(山林經濟)』에는 광어 등을 이용한 어육장 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 『산림경제(山林經濟)』
■ 『성소부부고(惺所覆瓿藁)』
■ 『시의전서(是議全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윤씨음식법(尹氏飮食法)』

■ [집필자] 양미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