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주(煮酒)

서지사항
항목명자주(煮酒)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청주(淸酒)
분야생활 풍속
유형음식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좋은 청주에 후추와 황밀을 넣고 곤 술.

[개설]
좋은 청주(淸酒)에 후추와 황밀(黃蜜)을 넣고 곤 술이다. 간혹 청주를 데운 술을 가리킬 때도 ‘자주(煮酒)’라고 불렀다. 한여름에 제향(祭享)에 올리는 청주가 쉽게 상하기 때문에 술을 데워서 저장한 후 제향에 올리기도 했다.

[만드는 법]
홍만선(洪萬選)이 편찬한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 1554년(명종 9) 어숙권(魚叔權)이 편찬한 『고사촬요(攷事撮要)』를 인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주 만드는 법을 소개하였다. “좋은 청주 1병에 후추·황밀 각 1전(錢)을 질그릇 항아리에 담아 솥 안에 놓고, 물속에 실을 드리우고 고다가 시간이 지나면 꺼낸다. 골 때 병의 숫자는 임의로 정한다.” 또 허준(許浚)의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인용하여 “술 한 병에 황랍(黃臘) 2전, 후추[胡椒]가루 1전을 넣고 병의 주둥이를 꼭 봉하고, 젖은 쌀 한 움큼을 그 위에 놓고 중탕하여 곤다. 쌀이 밥이 되면 다 고아진 것이니, 꺼내어 차게 식혀 쓴다.”

[연원 및 용도]
후추와 황밀을 청주에 넣고 고아서 만드는 자주의 연원에 대해서 1924년에 출판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서는 “이 술은 나라의 제향에 쓰는 것인데, 중국 상고 때부터 내려오는 법이니라.”고 하였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영조 때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의 제사에서 겨울에는 청주를, 여름에는 자주를 사용한다고 했다. 그 이유는 여름에 청주의 맛이 변할까 두렵기 때문이라고 했다. 청주를 데우면 술맛이 싱거워지기 때문에 매운 약재를 넣는데 그 맛이 다음(茶飮)과 비슷하다고 했다.

중종 때에는 추운 날씨에 근무하는 군사에게 술을 데운 자주를 주어 추위를 막는 데 도움을 주기도 했다[『중종실록』 4년 11월 13일]. 한편, 일본이나 유구국으로부터 받았던 후추는 자주를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하였다. 연산군 때 각 사(司)에서 자주를 만드는 데 후추 20근을 사용했다는 기록이 있었다[『연산군일기』 5년 10월 4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산림경제(山林經濟)』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 [집필자] 주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