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모주(母酒)

서지사항
항목명모주(母酒)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재강(滓糠), 주재(酒宰)
분야생활 풍속
유형음식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청주나 막걸리의 술지게미 혹은 그 술지게미를 짜서 만든 술.

[개설]
청주나 막걸리를 만들고 나서 남은 술지게미를 짜서 만든 술이다. 술지게미 그 자체를 부르는 말로도 쓰였다. 술지게미는 기근에 든 사람들이나 먹을 것이 없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제공되어 배고픔을 해결하는 데 이용되었다. 간혹 왕실의 시약청(侍藥廳)에서는 대비(大妃)의 건강이 좋지 않을 때 모주(母酒)로 죽을 끓여서 올리기도 했다.

[만드는 법]
모주를 만드는 방법에 대한 문헌 기록은 아직 발견된 것이 없다. 1924년판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서는 “이것은 술지게미를 걸러 마시는 것”이라고 적었다.

[연원 및 용도]
19세기 후반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는 작자 미상의 어휘사전인 『명물기략(名物紀略)』「음식부(飮食部)」에서는 “모주, 모쥬, 주재(酒宰), 다른 말로 재강(滓糠), ᄌᆡ강”이라고 한다고 적었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는 모주를 한자로 ‘모주(母酒)’라고 적고 한글로 ‘사루재강’이라 했다.

연산군 때에는 각 곳에서 산릉(山陵)에 일을 하러 온 군인들이 병에 걸려도 의원들이 치료를 해 주지 않아 왕실에서 검찰관을 파견하여 주리고 병든 자에게 약재를 넣고 끓인 술인 자주(煮酒)와 모주를 먹이도록 했다[『연산군일기』 1년 3월 16일]. 중종 때 견항진(犬項津) 공사에 중 3,000여 명을 동원했는데, 그들에게 묵은 쌀과 모주를 공급해 주라는 명령을 내렸다[『중종실록』 31년 2월 16일]. 인조 때에는 건강이 좋지 않은 자전(慈殿)에게 붕어구이[鮒魚炙]와 모주죽(母酒粥)을 올렸다. 자전이 새벽 3시까지 잘 자다가 잠을 들지 못하자 모주를 조금 올렸는데, 이것을 마시고 세 차례나 설사를 했다고 하였다.

[생활·민속적 관련 사항]
1864년(고종 1)과 1869년(고종 6)에 필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춘향전』의 이본(異本)인 『남원고사(南原古詞)』에서는 “귀신같은 아이놈이 상 하나를 들어다가 놓으니, 어사(御使)가 눈을 들어 살펴보니 모조라진 상소반(床小盤)에 뜯어먹던 갈비 한 대, 대추 세 개, 생률(生栗) 두 낱, 소금 한 줌, 장(醬) 한 종자(鐘子)에 절인 김치 한 보시기, 모주 한 사발, 면(麵) 한 그릇이 덩그렇게 놓였거늘, 남의 상(床) 보고 내 상 보니 없던 심정(心情)이 절로 난다.”는 대목이 나온다. 이도령이 남루한 차림으로 받은 상에 모주가 오른 것으로 보아, 하찮은 사람의 상에 차렸던 하급의 술이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는 “술 중에서 천품이요, 빈한한 자와 노동자의 반양식이라 없지는 못할 것이며 추운 새벽과 해 질 때에 이런 사람의 일등 가는 큰 요리라 할 것이니라.”고 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남원고사(南原古詞)』
■ 『명물기략(名物紀略)』
■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
■ 조재삼 지음·강민구 옮김, 『(교감국역) 송남잡지』, 소명출판, 2008.

■ [집필자] 주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