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현안(懸眼)

서지사항
항목명현안(懸眼)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평지성(平地城), 화성(華城)
분야정치
유형건축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적의 접근을 막기 위해 성벽에 수직으로 뚫은 구멍.

[개설]
현안은 성벽의 안쪽 바닥에 바깥쪽을 향한 구멍인 안구(眼口)를 두고 외벽면을 수직으로 뚫어 성벽에 접근해 기어오르는 적을 물리칠 수 있게 한 구조물이다. 즉 성벽 안쪽에서 현안을 통해 뜨거운 물이나 기름 등을 부어 적이 성벽을 기어오르는 것을 막는 것이다. 또한 적을 관찰하는 데 이용되기도 하였다.

[형태]
현안은 성 안쪽에서 성벽 외부로 수직으로 뚫려 있었다. 또한 안에서 현안을 통해 하는 공격이 적에게 효과적으로 타격을 줄 수 있도록 비스듬한 경사도를 두고 설치되었다. 특히 성벽에서 돌출된 치성(雉城)의 경우 면이 넓고 또 적의 침략 시 공격이 집중되었기 때문에 치성 부분에 현안이 집중적으로 설치되었다.

[변천 및 현황]
현안은 주로 산성보다 평지성에 많이 활용되었다. 따라서 조선보다는 평지성이 많은 중국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설치되었다. 산성이 주를 이룬 조선에서는 현안을 찾아보기 어려웠는데, 임진왜란 당시 류성룡(柳成龍)은 이 점을 지적하며 중국의 예에 따라 성을 쌓을 때 현안을 많이 설치할 것을 주장하기도 하였다[『선조실록』 28년 10월 22일]. 이듬해 비변사에서는 중국의 『기효신서』 등에 나타난 성곽 제도 등을 설명하며 조선 성곽 제도의 보완책을 제시하는데, 그 일환으로 여장(女墻), 즉 성가퀴와 여장 사이 즉 타(垜)마다 현안을 설치하자고 아뢰기도 하였다[『선조실록』 29년 11월 24일].

현안이 가장 효과적으로 설치된 곳은 바로 수원의 화성(華城)이다. 화성의 돈대(墩臺)나 적대(敵臺)에는 모두 현안이 설치되어 적의 접근을 차단하였다. 특히 화성에서만 볼 수 있는 3층의 독특한 구조인 서북공심돈(西北空心墩)은 깊은 현안이 설치되어 방어력을 극대화하여 안에서 총포를 쏠 수 있게 벽을 2, 3층으로 쌓아 올린 성곽 구조물인 공심돈(空心墩) 특유의 장점을 잘 살리고 있다.

[참고문헌]
■ 『화성성역의궤(華城城役儀軌)』
■ 김왕직, 『알기 쉬운 한국건축 용어사전』, 동녘, 2007.
■ 황종현, 「산성의 정비복원 방안에 관한 연구」, 대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집필자] 송양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