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호소사(號召使)

서지사항
항목명호소사(號召使)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임진왜란(壬辰倭亂), 정윤복(丁允福)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임진왜란 시기에 의병을 모으거나 군량을 수집하기 위해 임시로 파견한 관원 혹은 관직.

[개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의 침략을 막아내기 위해 마련한 임시 관직으로 1592년(선조 25) 정윤복(丁允福)을 동서로호소사(東西路號召使)에 임명한 것이 최초이다[『선조실록』 25년 4월 17일].

[담당 직무]
호소사는 국가에 중대한 변란이 생겼을 때 왕의 명령을 받들어 지방에서 군사를 불러 모으는 일을 담당했다. 그 외 민심의 안정, 군량 모집 등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때문에 그 지역에서 명망이 높은 사람을 임명하는 경우가 많았다.

[변천]
임진왜란 당시 처음 설치된 호소사는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인조실록』 2년 2월 12일], 정묘호란(丁卯胡亂)[『인조실록』 5년 1월 19일], 이인좌(李麟佐)의 난 직후[『영조실록』 4년 4월 6일] 등에도 임명되었다. 호소사는 임시 관직인 만큼 필요한 직무가 끝났다고 여겨지면 직임을 해면했다.

[참고문헌]
■ 우인수, 「정묘호란시 삼남지역 호소사의 활동과 그 의미」, 『조선사연구』20, 조선사연구회, 2011.

■ [집필자] 방기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