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장청(將廳)

서지사항
항목명장청(將廳)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장교청(將校廳)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지방 관아·감영의 장교들이 근무하던 관서.

[개설]
장청은 지방 관아와 감영의 육방(六房) 관속들 중에서 병방(兵房) 소속의 장교들이 근무하는 사무실이다. 이들의 신분은 중인이며 행정 실무를 담당하였다. 대개는 그 직무가 세습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장청은 중앙 정부에서 외관직(外官職)과 그 기구를 정비하면서 성립되었다. 조선 건국 초기 수령권이 강화되고, 읍사(邑司) 조직이 설정되면서 장청도 편제되었다. 군정과 경찰 행정의 실무자로서 직무 수행을 위한 계획과 운영을 목적으로 하며, 수령을 보좌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다.

[조직 및 역할]
장청에 소속된 행정 실무자들의 조직은 상위층은 향리, 하위층은 나졸로 구분된다. 장청은 작청(作廳)과 함께 향리 세력의 중심 기구였으며, 조선전기에는 유향소 즉 향청으로부터 검속을 받았으나, 조선후기에는 보다 독자적인 입지를 확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즉 1825년(순조 25)의 『순조실록』 기사에 의하면, 백성들이 족징(族徵)·동징(洞徵) 등의 부당한 각종 세금으로 고통받고 있을 뿐만 아니라 향청(鄕廳)·작청·장청·노령청(奴令廳)·면임(面任)·이임(里任) 등이 서로 다투어 빼앗고, 혹 무단(武斷)과 토호(土豪)들이 따라서 벗겨 먹는다고 하였다[『순조실록』 25년 11월 19일].

[변천]
조선후기에는 강화된 수령권에 힘입어 향리 세력의 입지도 상승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시기 장청 역시 수령권을 보좌하는 본연의 역할을 이행하면서도 양반이나 향청의 규제와 검속에서 보다 독자적인 입지를 확보해 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장청의 순장(巡將) 등 고위직은 퇴역한 이후에도 읍사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고종 때에는 내무아문에서 각 도에 제반 규례를 훈시하면서, 제81조로 작청과 장청에서 계방(稧房)을 만들거나 예송(例送)하는 폐단, 그리고 차사(差使)의 예채(禮債)를 일절 엄금하라고 하였다[『고종실록』 32년 3월 10일].

[참고문헌]
■ 이규대, 『조선시기 향촌 사회 연구』, 신구문화사, 2009.

■ [집필자] 이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