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행악(行樂)

서지사항
항목명행악(行樂)
용어구분전문주석
하위어거둥(擧動), 세악내취(細樂內吹), 세악수(細樂手), 장악원(掌樂院), 전부고취(前部鼓吹), 취고수(吹鼓手), 취타내취(吹打內吹), 행차(行次), 행행(行幸), 후부고취(後部鼓吹),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왕의 행차에 수반된 악대와 음악.

[개설]
행악(行樂)은 왕 · 사신 등 신분이 높은 인물이나 군대 같은 집단이 특별한 목적을 가지고 이동할 때 연주되는 음악과 그 음악을 연주하는 악대를 일컫는다. 조선시대에는 보통 행악이라고 하면 왕의 행차인 어가행렬(御駕行列)에 수반되는 악대와 음악을 가리키는 의미로 통용되었다. 행악의 악대로는 전부고취(前部鼓吹)·후부고취(後部鼓吹)·취고수(吹鼓手)·세악수(細樂手)·취타내취(吹打內吹)·세악내취(細樂內吹) 등이 있었다. 현재 대취타(大吹打)라는 악대로 그 전통의 일부분이 전해지고 있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에는 왕이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 행악의 종류가 달라졌다. 왕이 궁궐을 벗어나더라도 근거리를 다녀올 경우와 능행(陵幸)처럼 궁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장소를 방문하기 위해 이동하는 경우에 행차 규모나 의장(儀仗)이 다르게 구성되는 것처럼 악대도 구별되었다. 상황에 따라 전부고취 · 후부고취 · 취고수 · 세악수 · 취타내취 · 세악내취 등이 수반되었다.

전부고취와 후부고취는 궁중 음악 기관인 장악원(掌樂院)에 소속된 악대였다. 왕이 도성 안에서 움직일 때 어가의 앞뒤에 배치되었다. 여민락만(與民樂慢)·여민락령(與民樂令)·성수무강만(聖壽無疆慢)·낙양춘(洛陽春)·보허자령(步虛子伶)·환궁악(還宮樂) 등을 연주하였다.

취고수와 세악수는 조선후기에 등장하였다. 취고수는 군영에 소속된 악대였고, 군인들이 악대의 구성원으로 활동하였다. 취고수의 악기로는 대각(大角)·나각(螺角)·나발[喇叭]·호적(胡笛)·솔발(摔鈸)·자바라[啫哱囉]·점자(點子)·금(金)·정(鉦)·나(鑼)·고(鼓) 등이 있다. 장거리 이동에 편리한 관악기와 타악기로만 구성되었다. 취고수가 연주했던 음악은 호적 중심이라는 특성을 지닌다. 그 음악 전통이 현재 무령지곡(武寧之曲)이라는 악곡으로 전해지고 있다. 일명 대취타라고도 불린다.

세악수는 취고수와 짝을 이루어 활동하였다. 세악수는 군영에 소속되었지만 민간에서도 활발하게 연주 활동을 했던 반군반민(半軍半民)의 이중적 성격을 지녔다는 측면에서 취고수와 차별된다. 피리 2명, 대금·해금·장구·북 각 1명으로 구성된 삼현육각 편성으로 보통 6명이 한 단위를 이루며 취타·길군악·길타령·별우조타령·군악을 연주하였다.

취타내취와 세악내취도 조선후기에 새롭게 형성된 악대이다. 취타내취와 세악내취는 왕의 명령을 전달하는 임무를 맡았던 선전관청(宣傳官廳)에 소속되었기 때문에 왕의 거둥과 밀착되어 있어, 왕이 도성 밖으로 이동할 때 그 규모만 달리하며 대부분의 왕의 행차에 참석하였다. 취타내취의 악기 편성은 취고수와 유사했으며, 조선말기에는 나발·나각·자바라·호적·용고·정·나로 정리되었다. 취타내취는 황철릭을 입었다.

세악내취는 청철릭을 입어 취타내취와 구분되었다. 세악수처럼 삼현육각의 악기로 편성되었지만 각 악기별 연주 인원이 여러 명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삼현육각의 확대형을 이루었다.

[변천]
행악의 연주 전통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부터 발견된다. 고려시대에는 왕의 행차에 교방악관·취각군·취라군 등이 수반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왕의 행렬에 악대가 뒤따르며 소리로 거둥을 알리는 청각적인 알리미 역할을 담당하였다. 조선전기와 후기에 지속적으로 전부고취와 후부고취가 성 안의 행차에 배치되었다. 조선후기에는 취고수·세악수·취타내취·세악내취가 새롭게 등장하여 활동하다가 통감부시기에 축소되었다. 현재 황철릭을 착용하고 무령지곡을 연주하는 대취타라는 악대로 행악의 명맥이 이어지고 있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악학궤범(樂學軌範)』
■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英祖貞純后嘉禮都監儀軌)』
■ 『춘관통고(春官通考)』
■ 이숙희, 『조선후기 군영악대』, 태학사, 2007.
■ 신대철, 「조선조의 고취와 고취악」,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5.
■ 이숙희, 「行樂 연주 악대의 종류와 성격」, 『한국음악연구』35집, 한국국악학회, 2004.

■ [집필자] 이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