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연산군대 궁중에 설치되어 악(樂)·가(歌)·무(舞)를 연행했던 음악 기구의 하나.
[개설]
운평악(運平樂)은 연산군이 신설한 궁중음악 기구의 하나이자, 이 기구 소속 사람을 지칭하는 말이다. 연산군의 향락을 위해 존속하였다가 중종이 왕위에 오른 후 폐지되었다. 운평악에 뽑혀온 자들은 장악원의 악사에게 악기, 노래, 춤을 교육받았고, 궁궐 밖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왕의 명령에 따라 입궐하여 기예를 선보였다.
[연원 및 변천]
운평악은 연산군의 명령으로 설치되었다. 여러 고을에서 재주와 미색이 뛰어난 자들을 뽑아 구성하였지만, 그중에서도 특별히 뛰어났던 기녀들로 구성되었던 흥청악보다는 서열이 낮았다. 처음에는 700명 정원이었다가[『연산군일기』 10년 12월 24일] 그 수가 점차 늘어 1,000명으로 증원되었다[『연산군일기』 11년 1월 15일], [『연산군일기』 11년 2월 24일]. 중종이 즉위한 후 운평악에 속했던 이들은 석방되었다[『중종실록』 1년 9월 3일]. 다만 흥청악에 속했던 이들은 일부는 바로 석방되었으나 일부는 왕실 재물에 대한 추심 절차 등을 거친 뒤에 벌을 주거나 석방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