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궁장(弓匠)

서지사항
항목명궁장(弓匠)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시장(矢匠), 철장(鐵匠)
분야사회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에 활을 만들던 기술자.

[개설]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활의 성능은 이미 고구려시대부터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활의 몸체는 물소 뿔, 뽕나무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이용하여 만들어졌고, 그것을 잇는 데는 민어 부레풀을 이용하였는데, 여기에는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였다. 현재 활을 만드는 궁장(弓匠)과 화살을 만드는 시장(矢匠)이 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담당 직무]
궁장의 역할은 활을 제작하는 것이었지만, 이를 위해 필요한 재료의 확보와 인력 양성도 담당하였다. 『현종개수실록』에는 "북로(北路: 서울에서 함경도로 통하는 길)에는 궁장도 없고 궁각(弓角)도 없어 활을 만들 수 없으니, 각 지방에서 장인을 보내도록 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이로 보면 궁장 가운데 숙련된 양질의 기술을 가진 자들은 장인으로 인정받았음을 알 수 있다[『현종개수실록』 5년 3월 3일].

[변천]
세종대 병조(兵曹)와 군기감 제조(提調)는 궁장이 당시 27명이지만 13명을 더 늘려 달라고 요청하였다[『세종실록』 16년 6월 11일]. 궁장은 국가 기관에 소속되었고, 그 인원은 점차 늘어났다. 문종대에는 내궁방에서 일하는 군기감 소속 양인과 궁장들에게 체아직(遞兒職)을 제수하기도 하였다[『문종실록』 1년 9월 3일]. 이들은 각자의 특기에 따라 궁장과 궁정(弓箭), 궁현(弓弦), 철현(鐵弦), 장피(獐皮) 등으로 구분되었다[『세조실록』 13년 5월 29일].

궁장은 부역제에 따라 번(番) 단위로 그 역할을 이행하였다. 즉 궁인(弓人)은 정액(定額)이 15명이었는데 이들을 3번(番)으로 나누어 5명씩 작업하였고, 시인(矢人)은 정액이 30명이었는데 이들도 3번으로 나누어 10명씩 함께 작업하였다. 체아(遞兒) 2명은 부전사(副典事) 1명, 부급사(副給事) 1명으로 하였다[『세조실록』 6년 8월 1일].

[참고문헌]
■ 『한국민속대관』,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0.

■ [집필자] 이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