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주서일기(注書日記)

서지사항
항목명주서일기(注書日記)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승정원(承政院),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일기(日記), 주서(注書)
동의어당후일기(堂後日記), 초책(草冊)
관련어전교축(傳敎軸)
분야정치
유형문헌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승정원 소속 정7품직인 주서(注書)가 작성한 일기.

[개설]
『주서일기(注書日記)』는 승정원 소속의 주서가 작성한 일기로 초책(草冊) 혹은 『당후일기(堂後日記)』라고도 한다. 『주서일기』는 주서 중 입시한 1명의 주서가 작성하는 것으로, 내용은 입시한 자리에서 왕과 신하들 사이에서 오고 간 대화가 중심이 된다. 이 밖에도 날씨와 왕의 거처 및 상참(常參)이나 경연(經筵)의 시행 여부 등이 기록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승정원은 왕의 비서 기구로, 정3품 당상관인 승지(承旨)와 함께 정7품인 주서로 구성되었다. 주서가 결원이거나 특별한 사안이 있을 때는 가주서(假注書)를 차출하기도 하였다. 이 중 주서의 주된 임무는 『정원일기(政院日記)』, 즉 『승정원일기』를 작성하는 것인데, 최종적으로 『정원일기』가 작성되기 이전에 주서가 작성하는 것이 『주서일기』이다. 흔히 초책 또는 『당후일기』라 표현되기도 한다[『중종실록』 19년 11월 1일], [『숙종실록보궐정오』 33년 3월 2일].

주서나 예문관 소속의 전임 사관(史官)은 왕과 신하들이 만나는 자리에 입시하는데, 이때 군신(君臣) 간에 오고 가는 대화를 일종의 속기록 형태로 기록하였다. 이것이 초책, 즉 『주서일기』다. 어전에서 물러 나온 뒤 입시했던 주서와 사관이 각각 기록한 내용을 서로 대조하고 수정하였다[『중종실록』 29년 11월 29일], [『명종실록』 즉위년 9월 7일]. 입시하지 않았던 주서는 이를 받아 미리 작성해놓은 날짜[干支]나 문안·입진(入診) 기사 등이 적혀있는 기록에 깨끗하게 써서[淨書] 옮겼다. 이를 다시 왕이 내린 전교를 모아놓은 전교축(傳敎軸)과 합치게 되면 하루의 『정원일기』가 완성된다. 간혹 주서가 일기의 수정을 마치지 못해 수납이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숙종실록』 33년 3월 3일]. 하루의 『정원일기』를 반 달, 혹은 한 달 단위로 장책(粧冊)하면 『정원일기』 한 책이 완성된다.

단, 현전하는 이담명(李聃命)의 『주서일기』를 같은 날짜의 『승정원일기』와 대조해보면 처음에 작성된 『주서일기』와 장책되어 전하는 『승정원일기』는 내용상 일부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날짜는 동일하지만 『승정원일기』에는 『주서일기』의 내용이 축약해서 기록되거나 순서가 바뀌어 있는 경우가 발견된다. 이로써 『승정원일기』 작성 과정에서 『주서일기』의 내용이 취사선택되었음을 알 수 있다.

[서지 사항]
『주서일기』라는 제목으로 전하는 책으로는 17세기 후반 이담명이 작성한 일기가 있다. 이 밖에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권두기(權斗紀)의 『당후일록(堂後日錄)』을 비롯해 사초(史草)라는 이름으로 간행된 주서의 일기는 『주서일기』 혹은 『당후일기』 등으로 분류되어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주서일기』는 초서체로 작성되었고, 일자별로 구분해서 기록하였다.

[구성/내용]
『주서일기』의 첫 장에는 6명의 승지와 사관의 이름이 기록되었다[『선조실록』 32년 11월 1일]. 이어 날짜와 시간, 그리고 기후가 반드시 명시된다. 이 밖에도 자연 재변 현상과 왕이 거처하는 곳, 상참과 경연의 시행 여부 등이 명기되었다. 본문 시작 전에는 입시한 자리에 참석한 대신 이하 승지 및 주서 등의 명단을 기록하였다. 참석한 자리에서 있었던 논의 내용에 대해서는 매우 상세하게 논의의 찬반 과정을 기록하였다. 또한 정치적 논란이 되는 사안에 대해서는 더욱 자세하게 기록되었다. 따라서 정치적 논란이 되는 사안에 대해 확인하는 데 중요한 참고 자료가 된다. 임지로 떠난 수령의 명단을 기록하는 경우도 있었다.

[참고문헌]
■ 『영종대왕실록청의궤(英宗大王實錄廳儀軌)』
■ 국사편찬위원회 편, 『조선시대 사초Ⅱ : 『필재당후일기』 외』, 국사편찬위원회, 1996.
■ 김경수, 「조선 후기 이담명의 「주서일기」에 대한 연구」, 『한국사학사학보』 12, 2005.
■ 정만조, 「『승정원일기』의 작성과 사료적 가치」, 『한국사론37-승정원일기의 사료적 가치와 정보화방안 연구』, 국사편찬위원회, 2003.

■ [집필자] 이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