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내일기(自內日記)

서지사항
항목명자내일기(自內日記)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궁궐(宮闕)
동의어내일기(內日記), 내하일기(內下日記), 대내일기(大內日記)
관련어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분야정치
유형문헌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궁궐 내에서 작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기.

[개설]
자내일기(自內日記)는 궁궐에서 작성된 일기의 범칭(汎稱)으로 판단된다. 일기가 남아있지 않아 구체적인 내용과 편찬 과정 등을 알 수는 없으나 궁궐 내의 일상사를 비롯해 왕의 거둥이나 왕명 등을 주로 기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편찬/발간 경위]
자내일기는 특정의 도서를 지칭하기보다는 궁궐 내부에서 작성된 일기를 지칭하는 범칭으로 판단된다. 대내일기(大內日記)라고도 하였고[『영조실록』 22년 5월 20일], 약칭으로 내일기(內日記)라고도 하였다. 이것이 반사(頒賜)되는 경우에는 내하일기(內下日記)라 하였다. 자내일기는 각 왕대별로 존재하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궁궐이나 개별 관청에서 일기가 작성되었다. 외조(外朝)의 신료들은 궁궐 내부의 일을 잘 알 수가 없으며, 왕이 반사하는 윤음(綸音) 등을 위조하는 경우가 있어 별도로 일기를 작성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서지 사항]
현존하는 자내일기가 없어 구체적인 서지 사항은 확인할 수 없다.

[구성/내용]
자내일기는 현재 일기가 존재하지 않기에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다만 관련 기록들을 통해서 보면, 궁궐 내의 일상사를 비롯해 왕의 동정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즉 왕의 거둥과 왕이 내린 비답, 전교, 기사 등이 중심이 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기록 방식은 신하들이 올린 장계나 상소 등은 생략된 채 왕의 전교나 비답에 대해서만 기록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천문 기사가 상당수 수록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자연 현상과 왕의 통치를 관련시켜 이해하는 사고방식에 따른 것이었다. 이 밖에도 대소 조회(朝會) 등의 절목이 수록되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간혹 『승정원일기』 등에 포함되지 않은 내용이 있어 고례(古例)를 확인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었다[『정조실록』 2년 2월 3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기청등록(日記廳謄錄)』
■ 강성득, 「영조대 개수본 『승정원일기』에 나타난 ‘내하일기’ 검토」, 『도시역사문화』 4, 2006.

■ [집필자] 이근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