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기수(旗手)

서지사항
항목명기수(旗手)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대기수(大旗手), 오방기(五方旗), 고초기(高招旗), 인기(認旗)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주장(主將)의 주위에서 군사용 깃발을 지니고서 예하의 진영(陣營)에 각종 명령을 전달하던 군사.

[개설]
조선전기에도 군사들의 지휘를 위해 각종 군사용 깃발이 제작되고 이를 소지한 기수가 배치되었으나 기수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급격히 중요해졌다. 이는 각종 화약 무기가 전쟁에서 전면적으로 사용되자 전투의 소음이 이전에 비해 매우 커진 것과 함께 많은 군사를 정교하게 지휘해야 할 필요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에 따라 임진왜란 중 조선에 전래된 새로운 전술인 절강병법(浙江兵法)을 소개한 『기효신서(紀效新書)』에 다양한 깃발의 제도가 소개되어 있다. 조선은 이에 따라 각종 깃발을 제조하고 그 신호에 따라 군사를 훈련하였다. 아울러 취타(吹打)와 징, 북 등 여러 악기를 깃발과 함께 운용하였다.

[담당 직무]
조선후기 군사용 깃발은 부대 단위의 깃발, 진법용 깃발, 신호용 깃발, 기타 용도의 깃발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부대 단위 깃발은 인기(認旗)가 대표적인데 부대 단위인 영(營), 사(司), 초(哨), 기(旗), 대(隊)별로 각기 인기를 소지하고 이를 가진 기수를 두었다. 예를 들어 영장의 인기는 기의 폭이 5척이고 깃대는 1장(丈) 8척에 달하였다. 이 인기를 통해 그 부대가 어느 소속임을 알 수 있고 군사들도 이 깃발에 의해 동작을 취하게 된다.

신호용 깃발로는 오방기(五方旗)와 신기(神旗), 고초기(高招旗)를 들 수 있다. 오방기는 주작기(朱雀旗), 청룡기(靑龍旗), 백호기(白虎旗), 현무기(玄武旗), 등사기(騰蛇旗)로써 5영(營)을 지휘하는 데 사용하였다. 오방기는 사방 5척으로 깃대의 길이는 1장 5척이며 깃발의 중앙에 용, 호랑이 등 해당 방위의 동물 그림을 그렸다.

고초기는 오방기와 함께 운용하여 해당 방위의 부대가 일정한 동작을 하도록 지시하는 데 사용하는 깃발이다. 오방기와 고초기의 사용 방법은, 예를 들어 해당 방위의 오방기와 고초기를 모두 움직이면 모든 방위의 부대가 그 신호에 따라 동작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외에 몇 가지 부가적인 임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신호용 깃발이 있는데 당보기(塘報旗), 영기(令旗) 등이 그것이다.

진법용 깃발은 방진(方陣)을 칠 때 사용하는 깃발로 방진의 전체 크기를 정하고 각 방위의 문(門)의 위치를 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깃발이다. 문기(門旗)와 각기(角旗)가 가장 대표적이다. 문기는 방진 각 방위의 중간에 문을 낼 때 그 문 좌우에 세우는 깃발이다. 문기의 기 크기는 사방 5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12척이다. 중앙에 날개 달린 호랑이[翼虎]를 그리고 방위의 색깔에 따라 바탕색을 칠하도록 하였다. 각기는 방진의 바깥쪽 보루를 설치할 때 각 모서리[角]에 세우는 깃발로, 예를 들어 동남쪽 모서리일 경우 남쪽의 방향에는 남동각기(南東角旗)를 동쪽의 방향에는 동남각기(東南角旗)를 세우도록 한다. 각 기의 기 크기는 사방 4척이며 깃대의 길이는 12척으로 남동각기의 경우에는 남쪽을 상징하는 홍색을 위에 칠하고 동쪽을 상징하는 남색을 아래에 칠한다. 동남각기는 그 반대로 되어 있다.

그 밖에도 청도기(淸道旗), 금고기(金鼓旗), 표미기(豹尾旗), 독기(纛旗) 등 각종 깃발이 있다.

[변천]
조선후기 중앙의 각 군영과 지방의 여러 진영(鎭營)에는 다수의 기수가 편성되어 있었는데, 예를 들어 19세기 초 용호영(龍虎營)의 경우 표하군(標下軍) 속에 대기수(大旗手) 35명, 번기수(番旗手) 28명이 편성되어 있었다. 훈련도감에도 좌독수(坐纛手) 10명 등이 편성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 『기효신서(紀效新書)』
■ 『속병장도설(續兵將圖說)』
■ 『병학지남(兵學指南)』
■ 『병학통(兵學通)』
■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
■ 『병학지남연의(兵學指南演義)』
■ 『만기요람(萬機要覽)』
■ 『가례도감의궤(嘉禮都監儀軌)』
■ 노영구, 「조선 후기 반차도(班次圖)에 보이는 군사용 깃발」, 『문헌과 해석』22, 2002.

■ [집필자] 노영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