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내향(內鄕)

서지사항
항목명내향(內鄕)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외향(外鄕), 처향(妻鄕)
분야사회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고려·조선시대에 부친의 출신 고을을 가리킬 때 사용하던 용어.

[개설]
어떤 사람의 출신지를 가리는 데 있어서 부, 모, 처의 출신지를 3향이라고 하는데, 아버지의 출신 고을을 내향(內鄕), 어머니의 출신 고을을 외향(外鄕), 처의 출신 고을을 처향(妻鄕)이라고 하였다. 내향·외향·처향 모든 지역에서 과거시험의 초시(初試)향시(鄕試)에 응시할 수 있었다. 내향은 전·현직 관료의 인사 기록에 수록되었고, 왕비나 고위 관료의 내향은 읍격(邑格)을 승격시키거나 하례일(賀禮日)에 출신 고을의 향리들이 와서 하례를 하도록 허락하였다.

[내용 및 특징]
경기도 광주목 황려현(黃驪縣 : 현 경기도 여주시)의 경우, 고려 때 원 성종(成宗)의 황비(皇妣) 순경왕후(順敬王后)의 내향이라 하여 여흥군(驪興郡)으로 승격하였다[『세종실록』 지리지 경기 광주목 여흥 도호부].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도 세종대에 중궁(中宮)의 내향이라 하여 청부현(靑鳧縣 : 현 경상북도 청송군)을 청보군으로 승격하였다[『세종실록』 즉위년 9월 25일].

태종 때에는 전·현직 관료들의 세계(世系)와 경력을 기록하여 등용할 때 참고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인사 기록부에 내향과 외향 및 현재의 거주지를 기록하게 하였다[『태종실록』 3년 4월 24일].

왕비의 출신 지역 향리들은 국가에 경사가 있을 경우에 하례를 위하여 상경하였다. 세종대에는 먼 지역의 향리들이 하례하러 상경하는 번거로움을 피하기 위하여 궐내에 경사가 있을 때에 선원(璿源) 즉 왕족의 본관인 대향(大鄕), 황비(皇妃)의 내향과 외향, 황조비(皇祖妣)의 내향, 황증조비(皇曾祖妣)의 내향인 경우에만 서울에 와서 하례하도록 하였다[『세종실록』 15년 3월 20일].

[변천]
과거시험에서 향시의 경우 내향, 외향, 처향 어느 곳에서나 응시할 수 있었다. 예를 들면 원래 경기도 양천(陽川)에서 태어났고 양천이 내향이라고 해도 통진(通津)에서 처를 취하였으면, 통진이 처향이 되어 그곳에서도 초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인조실록』 5년 3월 24일]. 서울의 과거시험은 경쟁이 심하여 현종대에는 서울에 거주하는 선비들이 3향에 인연이 있는 곳에서 과거에 응시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로 인하여 빚어지는 폐단도 컸다[『현종실록』 2년 9월 13일].

[참고문헌]
■ 김필동, 「제2장 향촌사회의 변동」, 『신편 한국사 34: 조선 후기의 사회』, 국사편찬위원회, 1995.
■ 노명호, 「고려시대의 친족 조직」, 『국사관논총』3, 1989.
■ 박종기, 「고려시대 군현 지배 체제와 구조」, 『국사관논총』4, 1989.
■ 이존희, 「제1장 양반관료국가의 특성」, 『신편 한국사 23: 조선 초기의 정치 구조』, 국사편찬위원회, 1994.

■ [집필자] 김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