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북관(北關)

서지사항
항목명북관(北關)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관방(關防)
동의어관북(關北)
관련어남관(南關), 마천령(摩天嶺)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함경북도 지방을 이르는 말.

[개설]
함경도를 군사상 구분하여 마천령을 경계로 그 북쪽은 북관, 그 남쪽은 남관(南關)이라 한다. 길주로부터 그 이북의 명천·경성·부령·종성·무산·회령·온성·경원·경흥에 이르는 10개 고을이 포함된다. 동쪽 끝은 단천군 광천면 마천령, 서쪽 끝은 장진군 동문면 아득령, 남쪽 끝은 안변군 신고산면 삼방리, 북쪽 끝은 혜산군 보천면 백두산이다. 동쪽은 동해에 면하며 북동쪽은 함경북도에, 서쪽은 평안남도·평안북도에, 남쪽은 강원·황해도에, 북쪽은 압록강을 국경으로 중국 지린성[吉林省]과 마주한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조직 및 역할]
북관에 소속된 관(官)으로는 회령(會寧)·부령(富寧) 등의 부(府)에 소속된 16보(堡)가 있다. 간성(杆城)은 북관과 영동(嶺東)의 요해처였다. 1610년(광해군 2)에 장만(張晩)이 오랫동안 북관에 있었다[『광해군일기』 2년 11월 18일].

[변천]
1592년(선조 25) 6월 선조가 파천을 의논할 때 북관은 한 가닥 길밖에 없어 궁하게 될 경우 오랑캐 지역 외에는 갈 만한 곳이 없으니 평안도 의주로 진주해야 한다고 했다[『선조수정실록』 25년 6월 1일]. 경기에서 북관 직로(直路)에는 진을 설치한 곳이 없었다. 철원의 풍전역(豊田驛)은 북관의 첫길이었다.

■ [집필자] 김순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