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회강(會講)

서지사항
항목명회강(會講)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경연(經筵), 서연(書筵)
분야왕실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매달 세자나 세손이 교육 받은 정도를 평가 받는 것, 또는 과거의 초시 합격자를 대상으로 보던 강경 시험.

[개설]
조선시대에 차기 왕의 후보자인 왕세자나 왕세손은 일정한 기간에 공부한 것을 복습하고 평가 받았다. 이러한 평가 또는 그러한 자리를 회강이라고 하였다. 회강은 대개 조선 중기 이래 한 달에 2차례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다. 회강에는 세자나 세손의 사부와 빈객 및 세자시강원 또는 세손강서원의 소속 관리, 그리고 사헌부와 사간원의 장관이 참여하였다.

[내용 및 특징]
회강은 세자나 세손이 스승인 사·부(師傅)와 이사(貳師) 등의 서연관들과 모여 강학하는 자리였다. 서연의 규례에 따르면 사부는 회강이 아니면 들어와서 강의를 하는 경우가 없었다. 1669년(현종 10) 세자시강원 부인 송시열(宋時烈)이 세자에게 서연에 참석하기를 청한 후 서연에 들어가 강의를 하였다. 이를 계기로 세자사와 부도 서연에 참여하게 되었다.

세자의 회강에는 세자의 사부와 빈객 및 시강원의 소속 관리, 그리고 사헌부와 사간원의 장관이 들어갔다. 세손이 서연에서 회강하는 것 역시 세자의 회강과 같았다. 회강의 방식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

액정서에서 왕세자·사부·이사·빈객(賓客)·보덕(輔德)의 자리를 각자의 자리에 설치한다. 사부 이하는 모두 서당(書堂)에 모인다. 필선(弼善)합문(閤門) 밖에서 바깥의 준비가 다 되었음을 아뢰면 왕세자는 익선관과 곤룡포를 입고 자리에 나아간다. 보덕 이하는 들어와 두 번 절하고 서고, 사부·이사·빈객은 각자의 자리에 선다. 왕세자는 동쪽 계단으로 내려와 서고, 사부·이사·빈객은 서쪽 계단으로 나아간다. 사부·이사가 먼저 오르고 왕세자가 뒤에 오른다. 사부·이사가 먼저 자리 앞에 나가 서면 왕세자는 자리 앞에 나가 머리를 조아려 두 번 절하고 사부·이사도 머리를 조아려 답하여 절한다. 사부·이사가 자리에 나아가면, 왕세자도 자리에 나아가고 서안(書案)을 왕세자 자리 앞에 놓는다. 보덕 이하는 올라가 자리에 나아가고, 익위 이하는 올라가 정한 자리에 선다. 왕세자는 전날 수업한 것을 강(講)하고, 사부는 진강(進講)을 정해진 대로 한다. 강을 마치면 보덕 이하가 먼저 내려와 모시어 서고, 사부·이사·빈객은 계단으로 내려가며, 왕세자는 동쪽 계단 아래로 내려와 선다. 사부·이사·빈객이 문으로 나가고 왕세자는 안으로 들어가며, 보덕 이하는 나간다.

회강은 세자가 그 사이에 배운 학문의 성취 여부를 평가하는 자리였다. 동시에 회강의 의례인 ‘서연회강의(書筵會講儀)’가 국가 전례(典禮)로 규정될 만큼 회강 의례를 행하는 것이 교육의 효과도 있었다.

[변천]
최초의 회강은 세종 때 서연(書筵)에 전지(傳旨)를 내려 매월 초1일, 11일, 21일 및 경서(經書)를 처음 읽는 날에 사부와 이사가 회강하라고 하면서 시작되었다[『세종실록』 9년 10월 14일]. 이후 세조 때에 한 차례 시행되기도 하였고, 중종 때에는 회강일을 매월 15일로 정하기도 하였다[『중종실록』 15년 5월 14일]. 광해군이 세자로 있을 때부터 초하루와 보름에는 대전(大殿)에 문안을 드려야 하기 때문에 다음날인 2일과 16일에 회강하는 것으로 바뀌었다[『광해군일기』 4년 윤11월 18일]. 이후 1669년(현종 10) 7월 세자가 11세가 된 이후 회강을 시작하는 것으로 정해지면서 이후 매달 2일과 16일에 행하는 것이 원칙이 되었다[『현종실록』 10년 7월 3일].

[참고문헌]
■ 『國朝五禮儀』
■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 교육』, 민속원, 2008.

■ [집필자] 정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