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고강(考講)

서지사항
항목명고강(考講)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임문고강(臨文考講), 강경(講經), 배강(背講)
분야왕실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과거에서 경서의 뜻을 풀이하게 하는 것, 또는 성균관이나 향교 등에서 이미 학습한 경서의 뜻을 시험하는 것.

[개설]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문과(文科)의 경우 초시(初試)가 초장(初場)·중장(中場)·종장(終場)으로 이루어지는데, 고강은 이 가운데 초장에 시험 보는 방법 중 하나이다. 고강은 임문고강(臨文考講)이라고도 하며, 책을 보고 뜻을 말하는 것을 평가하는 것이다. 무과에서도 고강을 시행하였다. 여기에서 유래하여 종학(宗學)이나 성균관, 사부학당, 향교 등의 교육 기관이나 승문원(承文院)·훈련원(訓鍊院) 등의 기관에서 일반적으로 경서나 병서(兵書) 등을 학습하고 배운 것을 확인·평가하는 것도 고강이라고 하였다.

[내용 및 특징]
문과 초장에는 강경(講經)제술(製述)의 두 가지 시험 방법이 있었다. 이 가운데 강경은 구술시험으로써, 책을 보지 않고 물음에 답하는 배강(背講)과 책을 보고 뜻을 말하는 고강이 있었다. 이에 대한 채점은 대통(大通)·통(通)·약(略)·조(粗)·불(不)로 평가하여 점수를 주었다.

조선 초에는 문과 초시의 관시(館試)·향시(鄕試)의 경우 오경(五經)·사서(四書) 가운데 매 1책마다 각각 3장(章)을 강문(講問)하고, 회시(會試)에는 오경 중 1장, 사서 중 1장을 강(講)하게 하여, 그 뜻에 통한 사람을 뽑았다[『태종실록』1년 윤3월 21일]. 고강은 병서(兵書)를 시험하는 무과에서 시행하기도 하였다[『성종실록』2년 9월 4일].

고강은 문과 초시의 시험 방법이기도 하였지만 일반적으로 경서를 공부하는 기관에서 배운 것을 시험하는 용도로 쓰였다. 종학·성균관·사부학당·향교 등의 교육 기관이나 승문원·훈련원 등의 관서에서도 고강을 하여 평가의 기회로 삼았다. 또 왕이 전경문신(專經文臣)에게 고강하기도 하였고, 정조 때에는 규장각에서 초계문신(抄啓文臣)에게 고강하기도 하였다[『정조실록』5년 2월 18일].

[변천]
태종 때에는 문과 초시의 초장에서 오경과 사서 가운데 경서마다 각각 3장을 물어서 뜻을 말하게 하였다. 선조 때에는 향교에서 『소학』을 먼저 배우게 하고 고강할 때 이 책을 먼저 하게 하였다[『선조실록』39년 6월 9일]. 그러나 고강은 경서를 외우는 데만 치중하여 그 뜻을 자세하게 모른다는 비판도 있었다.

[참고문헌]
■ 『經國大典』
■ 『大典會通』
■ 이성무, 『한국 과거제도사』, 민음사, 1997.
■ 박천규, 「문과 초장 강경시비고」, 『동양학』6, 1976.

■ [집필자] 정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