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거(停擧)

서지사항
항목명정거(停擧)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과거(科擧)
관련어녹명(錄名), 부거(赴擧), 사관(四館), 삼관(三館), 허통(許通)
분야교육 출판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일정 기간 동안 과거를 보지 못 하게 하던 제도.

[개설]
정거는 죄를 범한 유생과 관인 등에게서 일정한 기간 동안 과거에 응시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이다. 그 죄가 엄중한 경우에는 평생 과거에 응시할 기회를 박탈하기도 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정거는 과거제를 시작한 고려시대부터 있었다. 즉, 1116년(고려 예종 11) 11월의 판문(判文)에 “모든 과거에서 처음 응시하는 자와 한 번 정거를 당한 자에 대해서는 정한 법식에 의거해 심문하고, 연속하여 응시한 자는 단지 가장(家狀)에 흠이 있고 없는 것만을 검사하여 응시하게 한다.”고 한 데서 짐작할 수 있듯이, 정거는 과거 제도 운영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제재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정거는 과거에서 부정행위를 했을 때에만 내려진 처분이 아니었다. 과거와 다소 무관한 일로, 이를테면 유생이 시를 지어 사장(師長)을 비방했다든가[『성종실록』 4년 3월 7일], 왕실에서 불사(佛事)를 거행하는 것을 반대하는 상소를 올린 성균관 유생 21명이 과격한 표현을 썼다고 하여[『연산군일기』 1년 1월 26일], 정거 처분을 받은 경우도 있었다.

정거가 ‘유생에게 가하는 처벌 중에서는 가벼운 편이었다.’라고 한 견해도 있다. 그러나 성종이 ‘유생을 징계하는 데에는 정거만 한 것이 없다.’고 한 것처럼, 과거를 통해 벼슬길로 나아가고자 공부하는 유생들에게, 설사 한시적이라고 하더라도 과거 응시 자격 정지는 매우 두려운 일이었을 것이다. 정거는 철저히 유생들을 겨냥한 벌이었다. 그 목적은 법적·도덕적으로 문제가 될 만한 유생들의 행위를 징계하고 막는 데 있었다.

[조직 및 역할]
정거는 대개 한시적으로 적용되었고, 간혹 ‘영영정거(永永停擧)’와 같이 무기한 지속되는 경우도 있었지만 이 경우는 예외로 간주되었다. 대체로 1식년(式年, 3년), 2식년, 10년 등으로 그 기간이 정해졌다.

[변천]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나는 정거 관련 기사는 조선초기부터 보이지만, 조선후기 숙종부터 정조 재위 기간에 가장 많이 보인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대전회통(大典會通)』
■ 송준호, 『이조 생원진사시의 연구』, 국회도서관, 1970.

■ [집필자] 박연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