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조선시대 왕실의 산릉이나 관방(關防)을 위해 축조된 산성 및 진보 등의 형세를 그린 지형도.
[개설]
조선시대 형세도(形勢圖)는 대개 산릉과 축성 등 왕실 관련 건축이나 관방과 관련하여 주변 지형을 그린 것이 대부분이다. 이들 형세도는 조정에서 이와 관련된 중대한 논의를 위한 1차 예람용이 제작되어 진상되었고, 이 중 일부는 비변사 등에서 이를 토대로 다시 제작하여 관방의 목적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형세도는 왕실 및 관방과 관련하여 지역의 형지를 그려 현장의 상황을 국왕에게 상세히 보고하고 이를 조정 대신들과 의론하여 결정할 수 있도록 준비한 자료이거나 그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조선시대 주요 사적에 대한 당대의 기록화로서 사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내용 및 특징]
1. 태실 및 산릉 형세도
조선시대 태실이나 산릉의 터를 정하거나 봉심을 통해 보수가 필요할 때 형세도를 제작하여 국왕에게 보고 자료로 활용하였다.
1393년(태조 2) 태실증고사(胎室證考使) 권중화가 전라도 진동현(珍同縣)에서 길지(吉地)를 살펴 산수형세도(山水形勢圖)를 바친 것과[『태조실록』 2년 1월 2일], 1495년(연산군 1) 산릉도감(山陵都監) 제조(提調) 이세좌가 산릉의 형세를 그려서 보고하였다[『연산군일기』 1년 1월 26일]. 1545년(명종 즉위) 우의정 이기, 예조 판서 윤개, 도승지 최연 등이 산릉에 다녀와서는 산릉의 형세를 도식(圖式)으로 그려 올린 사례가 있다[『명종실록』 즉위년 9월 26일]
또한 1645년(인조 23) 관상감 제조 김육과 예조 참의 이덕수가 여러 술관(術官)들과 함께 건원릉·광릉 및 희릉·효릉을 가서 봉심하고 들어와 희릉과 효릉 두 능 사이에 묘를 쓰기에 적당한 곳이 있음을 아뢰며 산의 형세를 그림으로 그려 올렸다[『인조실록』 23년 5월 5일]. 1661년(현종 2)에도 영의정 정태화, 선공감(繕工監) 제조 허적, 관상감 제조 이정영, 예조 참의 이진이 영릉을 살피고는 형세를 그려서 올렸다[『현종실록』 2년 2월 9일]. 한편, 정조는 1782년(정조 6) 전주 건지봉의 훼손을 막기 위해 전라도관찰사에게 건지산(乾止山)·곤지산(坤止山)과 성 안의 형세를 그려 올리도록 지시한 사례도 있다[『정조실록』 6년 8월 4일].
2. 왕실 건축 관련 형세도
주요 건축물의 건축 전후와 중건 후에 형세도가 제작되어 국왕에게 보고한 사례가 여러 번 나타난다. 1493년 선공감 제조 한치형과 공조 판서 여자신 등이 한강에 제천정(濟川亭)을 건축할 때 형세를 그려서 올렸다[『성종실록』 24년 6월 6일].
1615년(광해군 7)에는 지관사 이이첨이 양주 서면에 남명 조식의 서원을 건립하기 위해 터를 정하고 사면의 형세를 그려 올렸다[『광해군일기』 7년 9월 27일]. 또 1791년에는 강원도관찰사 윤사국이 영월에 자규루(子規樓)를 중건한 사실을 보고하자 자규루의 형태를 그려 올릴 것을 명하고 능지(陵誌)에 실리지 않은 영월 내 단종 관련 사료를 모아 올릴 것을 명하였다[『정조실록』 15년 2월 6일].
3. 행정 관련 형세도
1457년(세조 3) 경상도관찰사의 건의로 풍기군의 관할 지역의 형세를 그려오도록 하여 이조에서 의논하게 하였다[『세조실록』 3년 11월 29일].
1638년(인조 16) 인조는 강화부의 소재지를 이설한 만한 곳의 물색하기 위해 김신국을 파견하였는데, 김신국이 형세도를 그려서 돌아와 보고하였다[『인조실록』 16년 1월 22일].
4. 명나라 주문(奏文) 관련 형세도
조선시대에 명나라로 사행을 갈 때는 경우에 따라 지형도를 그려 가서 보조 자료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1404년(태종 4) 계품사 김첨이 여진 지역에 대한 관할권을 요청하는 주본(奏本)과 지형도본(地形圖本)을 가지고 명나라 남경에 가서 주청하였다[『태종실록』 4년 5월 19일].
1618년(광해군 10)에 비변사에서 조선 군병을 지원하는 문제로 명나라에 자문을 보내면서 지세도(地勢圖)를 그려가 주문할 것을 청한 것도 그러한 경우이다[『광해군일기』 10년 6월 21일].
5. 산성 및 관방 관련 형세도
조선시대 형세도의 대다수는 산성과 관북 지역을 비롯한 주요 요새의 관방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1436년(세종 18) 지승문원사(知承文院事) 정척에게 명하여 상지(相地)와 화공(畫工)을 거느리고 함길도·평안도·황해도 등지에 가서 산천의 형세를 그려 오게 하였다[『세종실록』 18년 2월 29일]. 1450년(문종 즉위) 사간원에서 변방 접경지대인 양계의 축성을 위해 대신을 파견하기 보다는 산천의 형세를 살펴서 그림을 그려 와서 그것으로 의논할 것을 제안하였다『문종실록』 즉위년 10월 8일 1번째기사].
1487년(성종 18) 황해도순찰사 정괄이 하천인 전탄(箭灘)에 도랑을 만드는 형세를 올려 상황을 보고하였고[『성종실록』 18년 1월 21일], 1510년(중종 5) 평안도관찰사 정광세가 미을관 북쪽에 연대를 설치할 곳의 지세를 따로 도면으로 그려 보고하였다[『중종실록』 5년 9월 27일].
1593년(선조 26) 일본과의 전쟁 중인 상황에서 정철이 충청도와 전라도에 있을 때 산천의 길, 적진과의 거리, 방어의 형세를 파악하기 위하여 방어사 곽영과 순찰사 허욱에게 그림으로 그려서 바치게 하였다[『선조실록』 26년 2월 26일]. 1595년(선조 28)에는 병조에서 한강 별영의 설치와 관련하여 상류로부터 바다 어귀에 이르기까지 한강 일대의 형세를 곧바로 상세히 조사하여 지도를 그려 올리도록 하였으며[『선조실록』 28년 7월 2일], 1596년(선조 29) 병조 판서 이덕형이 중흥동 산성을 둘러보고 주위의 형세를 그림으로 올렸다[『선조실록』 29년 3월 3일].
임진왜란이 끝난 후인 1603년(선조 36)에 이기빈이 남한산성의 형세를 살피고 돌아와 도형으로 보고하자 비변사에 도형 1건을 내려 산세를 다시 상세하게 그려 올리도록 하였다[『선조실록』 36년 2월 27일]. 1639년(인조 17) 경상감사 이명웅이 산성의 형세를 보고하기 위해 가산(架山)·공산(公山)·독음산(禿音山)의 형세를 그려 올렸다[『인조실록』 17년 8월 19일].
1673년(현종 14) 함경감사 남구만이 북도(北道) 관방을 변통할 일에 대해 진달하면서 도내 각 고을 간의 거리와 관방 요해처를 상세히 기록한 지도를 그려 올렸다[『현종개수실록』 14년 12월 30일].
1696년(숙종 22) 이조 참의 이징명이 해서(海西)의 5성 형세를 그리고 그 거리와 소속 고을의 수, 창고, 관청, 군수물자, 무기 및 화기, 성가퀴, 샘, 승려, 군관 등의 수를 각 성 아래에 낱낱이 적어서 살펴보기 편하게 한 책으로 만들어 올렸다[『숙종실록』 22년 12월 25일].
1704년(숙종 30) 훈련대장 이기하와 어영대장 윤취상이 도성의 둘레를 그림으로 그려 올리고 의견을 진달하였다[『숙종실록』 30년 2월 15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