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남별전(南別殿)

서지사항
항목명남별전(南別殿)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진전(眞殿)
관련어경기전(慶基殿), 계명전(啓命殿), 목청전(穆淸殿), 봉선전(奉先殿), 선원전(璿源殿), 영숭전(永崇殿), 준원전(濬源殿), 집경전(集慶殿)
분야왕실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광해군~숙종대에 태조, 세조, 원종의 어진(御眞)을 봉안한 진전(眞殿).

[개설]
임진왜란으로 선원전(璿源殿)에 있던 어진이 모두 소실되고, 외방에 있던 태조 영정과 세조 영정 중 일부만 보존되었다. 광해군대에 각지의 진전을 복구한 후 임진왜란 중에 보존된 경기전(京畿田)의 태조 영정, 봉선전(奉先殿)의 세조 영정 및 예안에 옮겨져 있던 경주 집경전(集慶殿)의 태조 영정을 옮기려 했다. 1614년(광해군 6) 전주 경기전을 중건하여 묘향산에 있던 태조 영정을 옮겨 봉안했고, 1619년(광해군 11)에는 태조 영정과 세조 영정을 임시로 한양의 봉자전(奉慈殿)으로 옮긴 후 남별전(南別殿)으로 고쳐 부르게 했다.

[성립 경위]
임진왜란이 끝난 후 보전된 어진들을 원래 있던 진전으로 돌려보내는 일이 진행되었다. 1614년에는 전주 경기전을 중건하고, 묘향산에 있던 태조 영정을 옮겨 봉안했다[『광해군일기』 6년 6월 8일]. 1617년(광해 9)에는 전주 경기전에 관원을 파견하여 태조 영정을 모사한 후 평양 영숭전(永崇殿)에 봉안하고자 했고 봉선전에 있던 세조 어진도 원래의 자리로 옮기려 했다. 1618년(광해 10) 영숭전과 봉선전에 각각 봉안될 태조와 세조의 어진을 옮겨 1619년 9월에 도성의 옛 봉자전에 임시로 봉안하면서 남별전으로 고쳐 부르도록 했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 조정이 남쪽으로 피난할 때 남별전에 봉안되어 있던 태조와 세조의 영정도 옮겼다가, 강화부에 영숭전이 건립된 후 이안하였다.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으로 강화부 영숭전의 태조 영정이 소실되었고, 세조의 영정은 성 밖에서 찾아 원종의 영정을 봉안해 둔 한양의 숭은전(崇恩殿)에 함께 봉안하였다. 남별전을 중수한 후에 원종 영정과 함께 옮겼다.

[변천]
1677년(숙종 3)에는 한양의 남별전을 중건하였다. 본래 이곳에 있던 세조와 원종의 영정을 생각하면 2실만이 필요했으나 3실로 중건하였다[『숙종실록』 3년 7월 11일]. 1688년(숙종 14)에 남별전의 남은 한 칸에 태조 어진을 봉안하였다[『숙종실록』 14년 3월 3일]. 1688년 당시 태조 영정은 영흥의 준원전과 전주의 경기전 2곳에 봉안되어 있었는데, 그중에 경기전의 영정을 옮겨서 모사한 후 남별전에 봉안하도록 하였다.

남별전에 태조 어진을 모신 후 정기적인 전알 의식이 확립되었다. 1690년(숙종 16) 외방에 있는 태조 진전은 모두 전호(殿號)가 있는데 한양의 태조 진전만 전호가 없다 하여 새로 진전의 이름을 의논한 후 영희전(永禧殿)으로 고쳐 부르게 했다.

[참고문헌]
■ 『남별전중건청의궤(南別殿重建廳儀軌)』
■ 『춘관통고(春官通考)』
■ 『(태조)영정모사도감의궤((太祖)影幀模寫都監儀軌)』
■ 김지영, 「숙종·영조 대 어진도사와 봉안처소 확대에 대한 고찰」, 『규장각』27, 2004.

■ [집필자] 김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