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중의(中衣)

서지사항
항목명중의(中衣)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상복(喪服), 속바지[單袴], 심의(深衣), 중단(中單), 최의(衰衣)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안에 받쳐 입는 속저고리[中衣]나 속바지[單袴], 또는 최의(衰衣)의 받침옷.

[개설]
안에 받쳐 입는 옷, 즉 중단(中單)이다. 『광재물보(廣才物譜)』에는 백삼(白衫)을 중의라고 하여 속저고리를 뜻하며, 『상례언해(喪禮諺解)』에는 단고(單袴)와 속바지를 중의라고 하였다. 중의적삼은 여름철 홑바지 또는 여성용 여름 홑바지를 지칭하기도 한다. 최의의 받침옷인 중의는 겉옷인 최의보다 고운 삼베로 만들며 만드는 법은 심의(深衣)와 같다.

[연원 및 변천]
중의는 여름용 속옷으로 속저고리나 속바지를 의미하는데, 언제부터 입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중의가 상복(喪服)의 속옷으로 사용된 예는 세종대에 처음으로 보인다[『세종실록』 5년 4월 23일]. 중의는 정복(正服)이 아니고 최복(衰服)에 받쳐 입는 옷이다[『명종실록』 21년 4월 4일]. 중치막을 중의라고 한 경우도 있다.

[형태]
중의의 형태에 관하여 자세히 알 수는 없지만, 최의의 받침옷이며 심의와 같다고 되어 있다.

[용도]
최의의 받침옷으로 입는 상복, 또는 여름용 속저고리, 속바지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사례편람(四禮便覽)』에 의하면, 수의 중에 단고가 있는데 한삼(汗衫)과 마찬가지로 바지 속에 입는 살에 닿는 속옷으로 주(紬)나 면포(緜布), 포(布)를 사용한다고 하였다. 한편 상(喪)에는 성복(成服)에 사용하는 중의의 제도가 심의와 같다고 하였다.

[참고문헌]
■ 『사례편람(四禮便覽)』
■ 劉頌玉, 『韓國服飾史』, 수학사, 1998.

■ [집필자] 최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