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양산(陽傘)

서지사항
항목명양산(陽傘)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의장(儀仗)
동의어양산(陽繖, 涼繖)
관련어개(蓋), 일산(日傘)
분야생활 풍속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왕실 의장의 하나로 햇볕을 가리기 위해 쓰는 물건.

[개설]
왕실 행차에서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동원된 의장물의 하나이다. 헝겊 색과 무늬에 따라 청양산(靑陽傘), 홍양산(紅陽傘), 황양산(黃陽傘), 소양산(素陽陽), 오색화산(五色花繖), 황구룡산(黃九龍繖) 등이 있다. 소양산은 상장례에 쓰인다.

[연원 및 변천]
의장 행렬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부터 볼 수 있으나,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은 고려부터이다. 조선에서는 고려의 복잡한 제도가 간결하게 정비되고 성문화되었으며 조선후기까지 큰 변화 없이 쓰였다.

청양산, 홍양산, 소양산 등은 조회, 연회 등의 궁중 행사와 제향(祭享), 능행(陵行), 종묘대제, 발인반차 등의 외부 행차에 위엄을 과시하기 위해 동원된 각종 의장 기물 중의 하나이다. 노부(鹵簿)에는 각종 깃발[旗幟], 무기, 양산[傘], 부채, 당(幢), 장도(粧刀), 악기 등이 사용되었다.

왕세자가 조정(朝廷)의 사신을 연회하는 빈례(賓禮) 의식에서 왕세자를 시위하며, 왕세자가 정청(正廳)의 자리로 나아가면 정청 밖 서쪽 가까이에 설치했다. 1897년(광무 1) 대한제국이 성립되자 종전의 모든 의장은 황제의 노부로 격상되어 재정비되었다.

[형태]
양산은 개(蓋)와 유사한 형태이지만 양산은 3층, 개는 1층이다.


[참고문헌]
■ 백영자, 「우리나라 노부의위(鹵簿儀衛)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5.

■ [집필자] 김소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