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백포(白袍)

서지사항
항목명백포(白袍)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시사복(視事服)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복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소상(小祥)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입는 옷.

[개설]
상(喪)이 난 지 13개월이 되어 지내는 제사를 연제(練祭), 상제(詳祭), 소상(小祥)이라고 한다. 연제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입는 시사복(視事服)은 백포(白袍), 백포과익선관(白布褁翼善冠), 백포과오서대(白布褁烏犀帶), 백피화(白皮靴)로 한다.

[연원 및 변천]
조선전기의 『세종실록』「오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는 왕세자의 졸곡(卒哭) 후 시사복으로 백포(白袍), 익선관, 오서대, 백피화를 규정하고 있으나, 조선후기의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는 연제 후 시사복으로 백포, 백포과익선관, 백포과오서대, 백피화를 규정하고 있다. 조선후기에는 상례가 보다 엄격해져서 조선전기의 졸곡 후 시사복을 연제 후 시사복으로 개정했다.

[형태]
연제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백포를 입는다. 백포는 곤룡포와 동일한 형태이지만 소재가 베라는 점이 다르다. 익선관도 베로 둘러싸므로 백포과익선관이라고 하며, 각(角)도 베로 싼다. 허리에는 백포과오서대를 띠고, 신은 백피화로 한다.

[용도]
연제 후에 왕이 정무를 볼 때 입는다. 선왕이 운명하면서 새롭게 왕위에 오른 왕세자는 일상적인 정무 외에 외교적인 업무도 많아진다. 중국에서 내린 시호(諡號)를 받는 의식[賜諡儀], 시호를 받은 후에 길일(吉日)을 택해 중국에서 온 사신(使臣)이 제문(祭文)을 바치는 의식[賜祭儀], 사신이나 손님이 왔을 때 처음으로 서로 만나 인사를 나누던 예[相會禮] 등에 백포를 입었다.

[참고문헌]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

■ [집필자] 김소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