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덕천사(德泉寺)의 창건주와 창건 연대는 전하지 않는다. 현재 절터에서 출토된 자기와 기와 조각 등 유물의 조성 기법을 볼 때 통일신라 또는 고려시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형을 이용하여 건립된 규모가 제법 큰 절이었던 것으로 보고 있다. 조선 태종 때 화엄종의 자복사찰(資福寺刹)로 지정되는 등 지방의 명찰(名刹)이었지만, 임진왜란 때 소실되어 폐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폐사된 덕천사의 절터는 단양군 가곡면 덕천리 마을의 뒷산 산등성이 아래에 있다. 덕천사지는 경지 정리 공사로 인하여 완전히 파괴되어 법당이 있었던 자리로 추정되는 부분만 남아 있다. 절터 주변에서는 자기와 기와 조각, 탑 건축에 사용되었던 부재들, 장대석(長臺石) 등의 유물이 발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