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영통사(靈通寺)

서지사항
항목명영통사(靈通寺)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교종(敎宗), 삼십육사(三十六寺)
관련어관음굴(觀音窟), 선교양종(禪敎兩宗), 수륙사(水陸社), 화엄종(華嚴宗), 기우재(祈雨齋)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세종대 국가에서 공인한 36사(寺) 가운데 하나로, 개성 오관산에 위치한 절.

[개설]
영통사(靈通寺)는 경기도 개성 교외의 오관산(五冠山)에 위치하였고 고려시대에 화엄종(華嚴宗) 사찰로 창건되었으며 대각(大覺) 국사(國師) 의천(義天)이 이곳에서 출가하였다. 조선 세종대에 선·교 양종의 교종 18사 가운데 하나였고 성종대에는 수륙사(水陸社)로 지정되었다.

[연원]
고려시대인 1027년(현종 18)에 화엄종 사찰로 창건되었으며 대각 국사 의천이 출가하였고 입적 후에는 비가 건립되었다. 인종을 비롯해 고려의 역대 왕들이 행차하여 향을 올렸고 진영이 모셔지고 기신재(忌辰齋)가 열리는 등 고려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절이었다. 이규보(李奎報), 변계량(卞季良), 권근(權近) 등의 명사들이 탐방하여 쓴 시가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등에 수록되어 전한다.

[변천]
고려시대에 높은 위상을 가졌던 영통사는 중국의 사신이 들러 유람하는 등[『태종실록』 3년 2월 3일], 조선초기에도 화엄종 사찰로서 이전의 사격을 유지하였다. 하지만 1424년(세종 6) 선·교 양종 체제를 시행하기 직전 사사(寺社)와 그 전지의 개혁, 제도 개선안이 논의되었는데, 당시 사찰들이 가지고 있던 전토의 규모에 비해 거주 승려의 수가 훨씬 적은 현실이 문제가 되었다. 영통사의 경우도 전지 200결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거주하는 승려는 불과 7명에 불과하다고 보고되었다[『세종실록』 6년 2월 7일].

1424년(세종 6) 세종은 기존의 7개 종단을 선·교 양종으로 나누고 각각 18개씩 36개 사찰만 공인하였는데, 이때 영통사는 교종 18사 중 하나로 지정되었다. 송림(松林)의 영통사에는 보유 토지 200결, 거주 승려 100명이 허용되었다[『세종실록』 6년 4월 5일].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철원 임강현(臨江縣) 조항에 영통사가 나오는데, 임강현은 원래 송림현이었다가 태종대에 임강현으로 바뀌었고 남쪽으로 임진 도라산(都羅山), 서쪽으로 개성 송악(松岳)과 접한 곳에 위치하였다. 현의 북쪽에 오관산이 있고 그 서쪽 기슭에 교종에 속한 영통사가 자리 잡았는데 이는 개성에서 동북쪽으로 30리(약 12㎞) 지점으로 산수 경치가 송도(松都: 현 개성) 제일로 뛰어나다고 기록하고 있다.

성종대에는 예조의 요청에 의해 맹인을 모아 영통사에서 기우재가 거행되었고[『성종실록』 5년 윤6월 26일], 또 무너진 관음굴(觀音窟) 대신에 경치가 좋고 조용한 분위기인 영통사를 수륙사(水陸社)로 정하였다[『성종실록』 8년 6월 30일]. 이후 영통사의 성쇠와 관련된 구체적 실상은 확인되지 않으며 16세기 무렵 화재로 전소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05년에 한국의 천태종 지원으로 보광원·중각원·숭복원 등 30여 동의 건물이 복원되었고, 본래 남아 있던 대각국사비와 석탑을 원래 자리에 놓아 보전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권상로, 『한국사찰전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 사찰문화연구원, 『북한사찰연구』, 한국불교종단협의회, 1993.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신문관, 1918.
■ 高橋亨, 『李朝佛敎』, 寶文館, 1929.

■ [집필자] 김용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