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계룡사(鷄龍寺)

서지사항
항목명계룡사(鷄龍寺)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선종(禪宗), 삼십육사(三十六寺)
동의어갑사(甲寺), 계룡갑사(鷄龍岬寺), 갑사사(岬士寺)
관련어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화엄종(華嚴宗), 마곡사(麻谷寺)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세종대 국가에서 공인한 36사(寺) 가운데 하나로,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산에 있는 절.

[개설]
신라하대 화엄십찰로 꼽힐 만큼 대표적인 화엄종 사찰이었으나, 조선전기에 이르기까지 자세한 기록은 확인되는 바가 없다. 세종대 선종 18사로 공인되었으며, 조선후기에 여러 차례 중창을 거치며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변천과 특징]
(1) 조선시대 이전의 계룡사

계룡사의 설립 연혁에 대해서는 분명히 전하는 것이 없다. 대개 갑사(甲寺) 혹은 계룡갑사(鷄龍岬寺)로도 부른다[『세종실록』 지리지 충청도 공주목]. 420년(신라 눌지왕 4) 아도(阿道) 창건설, 566년(신라 진흥왕 17) 혜명(惠明) 창건설, 혜명 중창설 등이 있으나 역사적 사실로 보기는 어렵다. 다만, 최치원(崔致遠)이 찬술한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에 의상(義湘)의 전교십찰(傳敎十刹) 중 하나로 계룡갑사를 언급하고 있어, 신라하대의 대표적인 화엄사찰 중 하나였음을 알 수 있을 뿐이다. 또한 고려시대 계룡사의 정황에 대해서도 확인되는 바가 없다.

(2) 조선시대의 계룡사

1424년(세종 6) 7개의 불교 종단을 선교 양종으로 통폐합하고, 각각 18사씩 모두 36개의 사찰만을 공인할 당시 계룡사는 선종 사찰로 공인되었다[『세종실록』 6년 4월 5일]. 이는 신라하대 화엄종 사찰이던 계룡사가 이후 어느 시기엔가 선종 사찰로 인식되기 시작하는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세종대에 선종 18사 중 하나로 공인된 계룡사가 원래 가지고 있던 전지는 100결이었는데 50결을 더해 주었으며, 절에서 지낼 수 있는 승려는 70명이었다.

1583년(선조 16) 정문루(正門樓)를 중수했고, 이듬해에는 대종(大鐘)을 만들었다. 종의 명문에는, 이 해에 북방 오랑캐의 전란이 일어나 충청·경상·전라 하삼도 사찰의 그릇과 쇠붙이를 모두 나라에 바쳐 병기와 화포를 주조하도록 하였기에 절의 종이 없어졌는데, 사람들이 절이란 아침저녁으로 임금의 장수를 기도하는 곳이라 하여 8,000근의 새 종을 만들었다고 하였다. 이 명문에는 ‘계룡산(鷄龍山) 갑사사(岬士寺)’라고 되어 있어, 갑사사라는 이름으로도 불렸던 것을 알 수 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으로 건물이 불탔으므로 전쟁이 끝나고 대웅전 등을 중건했고, 효종, 영조, 정조, 고종대를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사찰을 중수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6교구 본사인 마곡사의 말사이다.

현전하는 유물 중 중요 문화재로는 갑사철당간과 당간지주(보물 제256호), 갑사부도(보물 제257호), 갑사동종(보물 제478호) 등이 있고, 1569년(선조 2) 조성된 월인석보(月印釋譜) 목판(보물 제582호)을 비롯한 다수의 문화재가 전한다.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권상로, 『한국사찰전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 이정, 『한국불교사찰사전』, 불교시대사, 1991.

■ [집필자] 강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