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1392년(태조 1) 신정관제(新定官制)로 설치한 요물고(料物庫)는 내선의 미곡(米穀)을 수납·지출하는 일을 맡은 관아로 관원이 사(使, 종5품) 1명, 부사(副使, 종6품) 1명, 주부(注簿, 종8품) 2명이다[『태조실록』 1년 7월 28일].
[변천]
1392년(태조 1)에 설치하였고, 1410년(태종 10)에는 내선 공상뿐 아니라 각전(各殿)의 입번 차비(入番差備)에 대한 공판(供辦)의 책임을 맡았다. 1412년(태종 12)에는 사선서 관제를 6품 서승(署丞)을 주부(注簿)로 고치고, 이를 부직장(副直長)이라 칭하였다[『태종실록』 12년 1월 18일]. 1460년(세조 6)에 사선서에 도관서를 합속하여, 내선 공상과 미곡 공상 업무가 합해졌다[『세조실록』 6년 2월 7일]. 1466년(세조 12)에 대대적인 관제 개혁이 단행되었는데, 도관서(導官署)를 혁파하여 사선시로 합속했다[『세조실록』 12년 1월 15일]. 1467년(세조 13) 4월 사선서를 사옹원에 합속하면서 도관서를 다시 설치하였다.
1485년(성종 16)에 완성된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는 사도시(司䆃寺)로 명칭이 바뀌었다. 관원으로 제조(提調: 정3품) 1명, 정(正: 정3품) 1명, 부정(副正: 종3품) 1명, 첨정(僉正: 종4품) 1명, 주부(主簿: 종6품) 1명, 직장(直長: 종7품) 1명을 두었다. 그리고 이속으로 서원(書員) 8명, 고직(庫直) 3명, 군사 1명을 두었다. 『속대전(續大典)』에서는 정과 승(丞)을 감하고,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직장을 감하고 봉사(奉事)를 증치하였다. 이 사도시는 1882년(고종 19)에 폐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