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위연(慰宴)

서지사항
항목명위연(慰宴)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영접(迎接)
관련어별연(別宴), 상마연(上馬宴), 영위연(迎慰宴), 영칙(迎勅), 익일연(翌日宴), 전연(餞宴), 전위연(餞慰宴), 청연(請宴), 하마연(下馬宴), 회례연(回禮宴)
분야생활 풍속
유형의식 행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중국 사신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하여 베푸는 연회.

[개설]
조선에서 중국 사신을 맞이하여 베푸는 연회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서울에 도착하면 도착을 축하하여 베푸는 환영의 하마연(下馬宴), 사신이 서울에 도착한 다음날에 베푸는 익일연(翌日宴), 익일연 다음에 왕이 대전(大殿)에서 직접 베푸는 청연(請宴), 사신의 노고를 위로하는 위연(慰宴), 사신이 떠나는 날이 결정된 후에 베푸는 환송의 상마연(上馬宴), 그리고 사신이 떠날 때 베푸는 전연(餞宴) 등이다. 중국 사신의 위연은 영접도감(迎接都監)에서 주관하였다. 위연을 베푸는 일은 주로 왕세자나 높은 직위의 관리가 했다.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위연은 오로지 중국 사신과 관련해서만 쓰이지 않았다. 일본이나 유구국(琉球國)의 사신이 왔을 때 왕이나 왕세자 혹은 높은 직위의 관리가 열어 주는 위연, 왕이나 왕세자 혹은 높은 직위의 관리가 아랫사람의 노고를 치하하여 열어 주는 위연 등도 있다. 또 손님을 맞이하여 위로하는 연회인 영위연(迎慰宴)과 손님이 떠나는 것을 위로하는 전위연(餞慰宴) 등도 모두 위연이라고 불렀다.

[연원 및 변천]
위연의 기본적인 예법은 『의례(儀禮)』「공식대부례(公食大夫禮)」에 근거한다. 공식대부례는 왕이 연회를 열어 다른 나라에서 온 사신을 대접하는 의례이다. 왕은 먼저 대부를 사신의 숙소에 보내 사신을 영접하고, 장차 거행될 연회에 대해 알려준다. 사신은 3차례에 걸쳐 사양을 하고, 마지막에 영접 온 대부를 따라 나서서 연회 장소에 도착한다. 손님을 위한 술·음료·음식과 좌석 등이 모두 갖추어지면 왕은 예복을 입고, 대문 안에서 사신을 맞이한다. 주인과 손님은 서로 3번 절하고, 곧장 답례를 올린다. 그런 후 자리에 앉는다. 선부(膳夫)와 하인들이 정(鼎)조(俎)에 담은 생선과 고기 그리고 해(醯)와 장(醬)을 올린다. 손님의 급수에 따라 술을 돌리는데 3작에서 9작까지 그 횟수가 다르다. 9작이 돌려면 위연에 차려진 음식이 매우 많을 수밖에 없다.

『조선왕조실록』의 초기 기록에 나오는 위연은 주로 명나라의 사신을 대접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성종 이후 점차 신하들을 위로하는 연회가 열렸다. 현종 이후에는 위연의 기록이 보이지 않는다. 『승정원일기』에는 청나라 사신뿐만 아니라 신하들에게 베푼 위연에 대한 기록이 다수 보인다.

[절차 및 내용]
위연에는 술과 음식이 차려지며 가장 높은 직위의 사람이 입장하면 음악이 울린다. 위로의 의미로 집례자가 아랫사람에게 술을 내리면 시종이 음식을 전달한다. 간단한 위연은 술을 3번 내리며, 가장 성대한 위연은 술을 9번 내린다. 술을 내리는 일을 작(爵)이라고 부른다. 3번 내리면 3작, 5번 내리면 5작, 7번 내리면 7작, 9번 내리면 9작이라고 불렀다. 작의 숫자는 3작에서 9작까지 있다. 술과 음식을 내릴 때마다 음악과 춤이 행해진다. 위연을 마치면 주최자는 위연의 손님에게 선물을 주어 돌려보낸다.

명나라의 사신들은 기생들의 춤이 행해지는 것을 좋아하지 않아서 거부하는 경우가 많았다. 세종은 중국 사신의 위로연에서 정재(呈才)가 없고 술만 마실 때는 낙양춘(洛陽春)·환궁악(還宮樂)·감군은(感君恩)·만전춘(滿殿春)·납씨가(納氏歌) 등의 음악을 틈틈이 바꿔 가면서 연주하라고 지시하였다[『세종실록』 24년 2월 22일]. 명나라 사신들에게 술을 베푸는 방법은 먼저 왕이 술을 돌리면 그다음에 높은 관리로부터 술을 돌렸다. 예종이 태평관(太平館)에서 명나라 사신에게 위연을 개최할 때 왕의 술을 포함하여 모두 5작이 돌려졌다[『예종실록』 1년 윤2월 20일]. 일본이나 유구국의 사신을 맞이하는 위연은 보다 엄격한 위엄을 갖추고 행해졌다[『세종실록』 오례 빈례 의식 수인국서폐의].

[참고문헌]
■ 『영접도감의궤(迎接都監儀軌)』
■ 『의례(儀禮)』
■ 왕런샹 저·주영하 역, 『중국음식문화사』, 민음사, 2010.
■ 김경록, 「朝鮮時代 使臣接待와 迎接都監」, 『韓國學報』30권 4호, 2004.

■ [집필자] 주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