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조선에서 중국 사신을 맞이하여 베푸는 연회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서울에 도착하면 도착을 축하하여 베푸는 환영의 하마연(下馬宴), 서울에 도착한 다음 날에 베푸는 익일연(翌日宴), 익일연 다음에 왕이 대전(大殿)에서 직접 베푸는 청연(請宴), 사신의 노고를 위로하는 위연(慰宴), 사신이 떠나는 날이 결정된 후에 베푸는 환송의 상마연(上馬宴) 그리고 사신이 떠날 때 베푸는 전연(餞宴) 등이다. 중국 사신의 위연은 영접도감(迎接都監)에서 주관하였다. 전연을 베푸는 일은 주로 왕세자나 높은 직위의 관리가 했다.
그밖에도 『조선왕조실록』에 나오는 전연은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본이나 유구국의 사신이 왔다가 귀국할 때 왕이나 왕세자 혹은 높은 직위의 관리가 열어 주는 전연, 왕이 신하가 지방으로 부임하여 갈 때 위로하는 전연, 높은 직위의 관리가 아랫사람과의 이별을 위로하는 전연 등이다. 왕이 신하를 위해 여는 전연은 예조(禮曹)에서 행사를 진행하였다.
[연원 및 변천]
전연의 기본적인 예법은 『의례(儀禮)』「공식대부례(公食大夫禮)」에 근거한다. 공식대부례는 왕이 연회를 열어 다른 나라에서 온 사신을 대접하는 의례이다. 왕은 먼저 대부를 사신의 숙소에 보내 사신을 영접하고, 장차 거행될 연회에 대해 알려 준다. 사신은 3차례에 걸쳐 사양을 하고, 마지막에 영접 온 대부를 따라 나서서 연회 장소에 도착한다. 손님을 위한 술·음료·음식과 좌석 등이 모두 갖추어지면 왕은 예복을 입고, 대문 안에서 사신을 맞이한다. 주인과 손님은 서로 3번 절하고, 곧장 답례를 올린다. 그런 후 자리에 앉는다. 선부(膳夫)와 하인들이 정(鼎)과 조(俎)에 담은 생선과 고기 그리고 해(醯)와 장(醬)을 올린다. 손님의 급수에 따라 술을 돌리는 데 3작에서 9작까지 횟수가 다르다. 9작이 돌려면 위연에 차려진 음식이 매우 많을 수밖에 없다. 조선초기의 전연은 주로 명나라의 사신을 대접하는 일이었지만, 인조 이후에는 청나라 사신을 위한 것이었다. 명나라와 청나라의 풍속이 달라 그에 맞추어 음식과 음악을 준비하였다.
[절차 및 내용]
전연에서 술과 음식이 차려지고 가장 높은 직위의 사람이 입장하면 음악이 울린다. 위로의 의미로 집례자가 아랫사람에게 술을 내리면 시종이 음식을 전달한다. 간단한 전연은 술을 3번 내리는 것이며, 가장 성대한 전연은 술을 9번 내리는 것이다. 술을 내리는 것을 작(爵)이라고 부른다. 작은 3작에서 9작까지 있다. 3번 내리면 3작, 5번 내리면 5작, 7번 내리면 7작, 9번 내리면 9작이라고 불렀다. 술과 음식을 내릴 때마다 음악과 춤이 행해졌다. 경우에 따라서는 전연에서 술 대신에 차만 대접하기도 했다.
사신을 전송하기 위해서 베푸는 전연은 상마연과 같은 절차로 이루어졌다. 보통 태화관(太和館)이나 모화관(慕華館)에서 행해졌다. 한 예로 인조가 청나라 사신을 전연한 내용을 소개한다. 묘시(卯時: 오전 5~7시)에 왕이 모화관에 도착했다. 왕은 아래 계단에서 청나라 사신을 맞이하여 연회가 열리는 대청으로 올랐다. 사신이 왕에게 인사를 하고 왕도 사신을 치하하였다. 그다음에 다례가 행해졌다. 제1작은 모두 마시는 것이 예였다. 왕이 신하들과 사신들에게 술을 들라고 권하자 그들이 사양하였다. 이에 왕이 오늘은 전연이니 모두들 마시라고 다시 권하였다. 제2작과 제3작은 왕 다음으로 높은 직위의 관리가 권하였다. 또 사신들이 사양하자 왕이 다시 권하였다. 매번 작이 행해지는 사이에 왕과 신하 그리고 사신들이 여러 사안에 대해 예를 갖추어 의견을 주고받았다. 사신들은 체류하는 동안에 잘 보살펴 준 왕에게 감사의 말을 하였다. 그리고 황제에게 보내는 편지를 잘 전달하겠다는 말을 하였다. 왕은 전별예단에 대해 설명하였고 사신들은 이에 감사를 표시하였다. 다시 왕이 술을 권하였다. 그러자 참석자 모두가 술을 한 번에 다 마셨다. 왕은 마지막으로 귀국하는 날의 기후와 길의 형편이 어려운데 조심해서 잘 가라는 당부를 하였다. 전연은 미시(未時: 오후 3~5시)에 끝이 났고 왕은 환궁을 하였다. 전연을 마치면 주최자는 전연의 손님에게 선물을 주어 돌려보냈다. 이것을 전연예단(餞宴禮單)이라 불렀다. 전연예단의 품목은 인삼·활·화살·신발·비단·종이·붓·먹 등이었다.
왕이 지방으로 부임하는 2품 이상의 관원에게 전연을 베풀었다. 이 전연에 참석치 않는 관원의 경우 반드시 불참 이유를 보고해야 하며 본인이 불참하면 자제로 하여금 이유를 갖추어서 보고하도록 조치하였다[『세종실록』 13년 7월 12일]. 부임지에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는 전연을 행하지 않았다[『세종실록』 17년 7월 30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