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사손(使孫)

서지사항
항목명사손(使孫)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본족(本族), 사손도(使孫圖), 상속(相續)
분야사회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자녀가 없는 사람의 재산을 상속할 수 있는 일정 촌수 내의 친족.

[개설]
사손(使孫)은 자식이 없는 사람의 재산을 상속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친족을 말한다. 법전에 상속인의 범위를 지칭하는 용어로 수록되어 본족(本族)과 같은 의미로 쓰였다. 하지만 부(夫)의 재산은 남편의 본족에게, 처(妻)의 재산은 아내의 본족에게 상속하는 것이 조선시대 친족제적 특성임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내용 및 특징]
자녀가 없는 사람의 재산에 대한 상속 범위와 순위의 지정은 조선초기부터 『경국대전』이 반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논의되었고, 그 결과가 법전에 수록되었다. 지정된 범위 내에서 상속인이 끝내 없으면 그 재산은 속공(屬公)되었다. 『경국대전』 이후에도 사손의 범위는 계속 논의되었고 그 결과 사손도(使孫圖)로 구체화되었다. 이를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손의 상속순위는 먼저 자녀 없는 피상속인의 부(父)를 기준으로 하고 다음에 조부를 기준으로 해서 정했다. 사손 중 제1순위자는 동생이며, 이들이 없으면 제2순위로 조카, 이들이 없으면 제3순위로 형이나 아우의 손자로 이어지는 식이다. 이런 식으로 사촌형제까지 이를 수 있으나 사촌의 범위를 넘어서면 사손의 범위 밖이므로 재산을 해당 관아나 국가에 귀속하도록 하였다.

[변천]
자녀 없는 이의 재산상속을 위해 그 상속 순위를 설정한 것은 고려시대 때부터 내려오던 제도라고 할 수 있으며, 사손이라는 용어 역시 고려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조선전기까지는 사손 범위 내에서의 상속 순위가 유효했으나, 조선후기에는 자식이 없는 경우 입양이 일반적으로 행해졌으므로 사손 범위의 상속 순위는 그 의미가 다소 떨어졌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 『경제육전(經濟六典)』
■ 『경국대전(經國大典)』
■ 『경국대전주해(經國大典註解)』
■ 『대전속록(大典續錄)』
■ 『결송유취(決訟類聚)』

■ [집필자] 문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