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노고(路鼓)

서지사항
항목명노고(路鼓)
용어구분전문주석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제례악을 연주할 때 사용된 북.

[개설]
노고(路鼓)는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쳐 현재까지 인귀(人鬼)에게 올리는 제사에서 사용되는 북이다.

[연원 및 변천]
1116년(고려 예종 11)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유입된 악기 목록에 없으며 고려시대에 사용된 예가 드러나지 않는다. 조선 세종대부터 구체적인 용례가 나타나며 그 후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선농(先農), 선잠(先蠶), 우사(雩祀), 문선왕(文宣王) 제향 때 노도(路鼗)와 함께 진설되어 제례악을 연주하였다. 현재에는 문묘제례에서만 쓰이고 있다. 노고는 인귀의 제향에 사용되며, 노(路)는 사람이 다니는 길[人道]이니, 노에는 사람이 행해야 할 바른 도리라는 뜻이 담겨 있다.

[형태]
노고는 붉은[紅] 칠을 한 북 2개를 엇갈려 매달아놓은 모습이다. 양면을 칠 수 있으므로 북면은 모두 4면이다. 단,『세종실록』 「오례」의 노고 그림에는 북 2개가 나란히 매달려 있어 북을 매단 방식이 다른 것과 상이하다. 성종대 『악학궤범』에 기록된 노고의 치수는 가죽면 지름 각각 1자 1치 7푼, 통 길이 각각 3자 8치 8푼이다. 노고는 헌가에 진설되어 진고(晉鼓)와 동시에 치는 방식으로 연주하였다.




[참고문헌]
■ 『주례(周禮)』
■ 『악서(樂書)』
■ 『악학궤범(樂學軌範)』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 [집필자] 이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