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영고(靈鼓)는 조선시대부터 대한제국기까지 지기(地祇)에 올리는 제사 때 사용했던 북이다.
[연원 및 변천]
1116년(고려 예종 11)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유입된 악기 목록에 없으며, 고려시대에 사용된 예가 드러나지 않는다. 조선 세종대부터 구체적인 용례가 나타나며 대한제국기까지 지속적으로 활용되었다. 사직제(社稷祭) 같은 지기(地祇)에 올리는 제사 때 영도(靈鼗)와 함께 진설되어 제례악을 연주하였다. 영고는 땅 제사에만 사용된 악기였는데, 그 이유는 영(靈)이 지덕(地德)을 의미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영고는 북면의 수, 색채, 재료에서도 땅을 상징하고 있다. 영고의 북면은 8면인데, 지신제(地神祭)의 강신악(降神樂)을 여덟 번 반복 연주하는[八變] 맥락과 통한다. 북에 노랑 칠을 한 이유도 땅은 누렇다[黃]고 보는 생각을 반영해놓은 것이다. 영고 제작 때 소가죽을 사용하는데, 곤(坤)이 소[牛]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형태]
『악학궤범(樂學軌範)』에 그려진 영고와 현재 전하는 것은 한 면만 쳐서 연주할 수 있는 원추형의 북 8개를 달아놓은 모습이다. 그러나 『세종실록』 「오례」에는 양면을 칠 수 있는 북 3개가 그려져 있다. 이는 처음에는 정강성(鄭康成)의 설에 따라 영고가 6면으로 제작되었으나 세종 중기에 진양의 설에 따라 8면으로 제작할 것을 주장한 박연의 건의가 채택되어[『세종실록』 12년 2월 19일], 8면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즉, 『세종실록』 「오례」의 길례서례(吉禮序例)에는 박연의 건의 이전에 제작된 것이 실려있는 것이다. 한편 영고는 헌가에 진설되어 진고(晉鼓)와 동시에 치는 방식으로 연주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