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학유(學諭)는 조선시대 성균관에 소속된 종9품 관직으로, 1392년(태조 1)에 유생들의 교육을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학유는 성균관 내에서의 교육 활동 이외에도 지방에 파견되어 유생들의 교육을 담당하기도 하였고, 양현고(養賢庫)의 녹사(錄事)를 겸하였으며, 각종 시험에 시관(試官)으로 파견되기도 하였다. 성균관이 개정된 1895년(고종 32)에 혁파된 것으로 보인다.
[담당 직무]
문과 급제자는 정식 관직에 나아가기에 앞서 분관(分館)이라 하여 성균관과 교서관, 승문원 등에 권지(權知) 직함을 띠고 나아갔다. 학유는 성균관에 분관된 과거 급제자에게 제수하던 관직으로 권지학유라 하였다. 권지학유로 제수된 자들은 지방에 파견되었는데, 지역의 유학 교육을 위해 유학교수(儒學敎授)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유학교수로 파견되었던 학유에 대한 고과는 해당 도의 관찰사가 살피도록 하였다. [『태종실록』 7년 1월 23일].
그런 만큼 상당히 경학에 조예가 깊은 자에게 학유를 제수했는데, 예를 들어 1483년(성종 14)에 안윤덕(安潤德)이 과거에 급제하여 처음 승문원에 보임(補任)하였으나 당시 조정에서 안윤덕이 경학에 조예가 깊다는 논의가 있어 학유로 바꾸어 제수한 적이 있다. 반대로 몸가짐이 조신하지 않으면 파직되기도 하였다[『중종실록』 35년 8월 23일].
[변천]
1392년 7월 28일 문무백관의 관제를 반포할 때 성균관이 설치되었으며, 이때 학유는 정원 4명의 종9품 관직으로 설치되었다[『태조실록』 1년 7월 28일]. 1466년(세조 12) 1월 정원 중 2명을 줄였으나, 이후 간행된 『경국대전(經國大典)』에서는 정원 3명의 종9품 관직으로 규정되었다. 아울러 『경국대전』에서는 학유를 포함, 성균관 소속의 정7품 박사(博士) 이하 관직은 의정부 소속의 사록(司祿) 1명과 봉상시의 직장 2명이 겸임하도록 규정하였다. 조선후기에는 겸학유(兼學諭) 3명이 증설되기도 하였다.
학유는 이후 큰 변화가 없이 그대로 유지되다가 1894년(고종 31)의 갑오개혁 과정에서 성균관의 성격이 변화되고 이어 1895년에 종전의 관직이 폐지되면서 새롭게 성균관의 직제가 마련될 때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