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연환(鉛丸)

서지사항
항목명연환(鉛丸)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조총(鳥銃), 화포(火砲), 철환(鐵丸), 총통(銃筒), 수철연의환(水鐵鉛衣丸)
분야정치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화약 무기에서 발사하기 위해 납[鉛]으로 만든 둥근 탄환.

[개설]
연환은 화약 무기에서 발사하는 납 탄환으로 납을 녹여 둥근 구슬 형태로 제조하였으며 각종 화약 무기의 포강(砲腔)의 규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제조되었다. 철환(鐵丸)에 비해 포강의 마모를 일으키지 않고 가공이 편하고 가벼워서 멀리 날아갈 수 있었으므로 널리 제조되었다.

[연원 및 변천]
최초로 개발되었던 화약 무기는 그 내부 약실 등의 구조상 발사체로서 탄환을 발사할 수는 없고 오직 화살만을 쏠 수 있을 따름이었다. 그러나 16세기 들어서면서 이른바 ‘토격형(土隔形)’ 총통(銃筒)이 개발되면서 금속제 탄환을 발사할 수 있게 되었다. 토격형 총통은 화약을 총통에 넣고 다진 후 탄환을 집어넣고 흙으로 덮어 다져서 발사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쇠로 만든 철환은 만들기도 쉽고 값도 싸고 강도도 높지만, 무게가 무거워 멀리 날아가지 못하고 쇠의 강도가 청동으로 만든 총통의 포강보다 강도가 세어 포강을 마모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 포구의 크기에 맞추어 정교하게 다듬기도 어려웠다. 따라서 철환에 납을 씌운 수철연의환(水鐵鉛衣丸)이나 연환을 발사체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수철연의환이나 연환은 포강을 마모시키지도 않으면서 포강과 밀착되어 멀리 날아갈 수 있었다. 특히 연환은 철환이나 수철연의환보다 가벼워서 멀리 날아가고 사람의 몸에 맞으면 몸 안에서 부서져 흩어지므로 더욱 치명적이었다. 아울러 총통의 규격에 맞도록 마무리 가공을 하기에 용이하였다.

[형태]
연환은 둥근 구슬 형태로 납을 녹여 주물로 제조하며, 17세기 초 한효순(韓孝純)이 편찬한 화약무기 제조법을 담은 병서인 『신기비결(神器秘訣)』에 의하면 장전하는 총통에 따라 대, 중, 소 세 종류의 연환이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조총(鳥銃)에는 소연자(小鉛子)가, 여러 대포에는 대·중연자(大·中鉛子)가 주로 장전되었다. 예를 들어 대형 총통인 천자총(天字銃)에는 중연자 100발을 장전하였고, 개인 화기인 조총에는 소연자 1발을 장전하였다. 19세기 초 편찬된 『융원필비(戎垣必備)』에 의하면 수철연의환은 천자 및 지자총통에 사용하고 연환은 현자, 황자총통으로 발사하였다. 그 규격은 현자총통의 연환은 지름이 1촌 7푼이고 무게가 1근 13냥, 황자총통의 연환은 지름이 1촌 3푼, 무게가 13냥으로 발사하면 10리까지 날아갔다고 한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현재 육군박물관에 소장된 연환은 모두 세 종류로 직경이 3.0, 5.5, 7.8㎝이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신기비결(神技秘訣)』
■ 『화포식언해(火砲式諺解)』
■ 『융원필비(戎垣必備)』
■ 민승기, 『조선의 무기와 갑옷』, 가람기획, 2004.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무기발달사』, 1994.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군사유물집』, 1996.

■ [집필자] 노영구